[글로벌 미디어 키우자] (1) 케이블TV, 현상 유지에 급급…자체 제작 않고 '재탕 방송'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 콘텐츠로 승부하라
케이블은 재탕채널
제작비, 구매비의 10배넘어
케이블은 재탕채널
제작비, 구매비의 10배넘어
유재석이 진행하는 MBC 예능프로 '무한도전'은 지난달 18일부터 25일까지 6개 케이블채널에서 68회나 재방송됐다. 일요일 하루 동안만 무려 13회나 재방영됐다. 이 프로그램이 지난 한 해 동안 재방송된 횟수는 5개 채널에서 2133회나 된다.
올 들어서는 횟수가 더 늘었다. 1~5월에만 7개 채널에서 1140회 방영된 것.이런 추세라면 연말까지 2736회가 방영될 전망이다. 매주 한 편씩 제작되는 이 프로그램은 케이블방송을 떠돌며 연간 편당 50차례 이상 재방송되고 있다.
SBS 'TV동물농장'은 재탕 횟수가 더 많다. 지난달 24일 하루 동안 6개 채널에서 20차례나 재방송됐다. 지난 한 해 동안 재탕 횟수는 무려 3230번에 달한다. 올 1~5월엔 2058회,연말까지 4939회에 달할 전망이다. 연간 편당 100회 정도 재방송된다는 계산이다.
지상파 프로그램 '순간포착,세상에 이런 일이' '1박2일' '거침없이 하이킥'과 '지붕뚫고 하이킥' 등도 올해 2500회 이상 방송될 것으로 보인다. 1~5월 재방송 횟수 상위 10편 중 '순간포착'만 지난해보다 횟수가 소폭 줄었을 뿐 나머지 9편은 횟수가 늘었다.
한국경제신문이 최근 조사한 케이블채널의 재방송 실태다. 채널 수는 많지만 인기 콘텐츠만 반복 방송하는 게 케이블 업계의 현실이다. '케이블채널은 재방송채널'이란 말이 입증됐다. 이 때문에 시청자들의 채널 선택권은 설 자리를 잃고 있다.
이는 국내 케이블채널이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보다 외부에서 구매해 방송하는 데 치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번이라도 콘텐츠를 제작한 채널은 전체의 절반에 불과하다. 방송통신위원회 집계에 따르면 187개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중 자체 제작 실적이 있는 곳은 전체의 51%인 96개다. 등록 채널은 많지만 대부분 재방송으로 살림을 꾸려가고 있다는 증거다.
자체 제작 실적이 있다 해도 편성 비율이 10% 미만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1~5월 주요 케이블채널 편성 비율을 보면 코미디채널은 지상파 프로그램 재방송 92%,자체 제작 8%로 나타났다. E채널도 재방송 93%,자체 제작 7%였다. 드라맥스는 지상파 프로그램 재방송 비율이 100%였다.
케이블업계 시청률과 경영실적 '톱10'(2008년 기준)의 지상파 계열 PP도 마찬가지다. SBS 드라마플러스는 자체 제작 비율이 4%에 불과했고,MBC드라마넷은 14%에 그쳤다. 그러나 MBC드라마넷은 매출 949억원,순익 62억원,SBS드라마플러스는 매출 672억원,순익 152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반면 자체 제작 비율이 높은 TvN의 영업이익률은 -22%,엠넷미디어는 -1%로 적자 늪에 빠져 있다. '롤러코스터' 등으로 인기몰이를 한 TvN의 자체 제작 비율은 78%,'슈퍼스타K' 등을 만든 엠넷은 96% 수준이다. 특히 엠넷은 설립 후 17년간 대부분 자체 제작물을 선보였지만 여전히 적자다. TvN 등 10개 채널을 보유한 CJ미디어도 매출 1590억원,손실 336억원을 기록했다.
방송통신위원회 집계에 따르면 CJ미디어가 제작한 콘텐츠 분량은 연간 164만분인 데 비해 KBS MBC SBS 계열 20개 안팎 케이블채널이 제작한 콘텐츠 분량은 75만분으로 CJ미디어의 46%에 불과했다.
지상파 드라마를 재탕하는 케이블채널들의 영업실적은 나는 반면 자체 제작물로 승부하는 채널들의 실적은 기고 있다. 한마디로 구매 비용보다 제작 비용이 훨씬 크기 때문이다. 지상파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을 구입해 방송하는 게 자체 제작하는 것보다 훨씬 저렴한 실정이다.
제작비를 살펴보면 예능 프로그램은 편당 5000만~1억원,드라마는 편당 2억원 안팎이 소요된다. 이에 비해 구입비는 예능 프로그램 편당 300만~400만원,드라마는 편당 1000만~2000만원이다. 미드(미국 드라마)도 편당 700만~1000만원이다. 구입비가 제작비의 10분의 1도 채 안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시청률과 광고 수주는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
이런 사업 환경 때문에 국내 1개 PP의 콘텐츠 제작 실적은 미국 1개 PP의 14% 수준이다. 2008년 국내 187개 케이블채널의 연간 제작 편수는 5700여편이었지만 미국에서는 565개 채널이 9만3600여편을 만들었다.
수출 규모는 더욱 미미하다. 2008년 미국 PP의 수출액은 92억달러인 데 비해 국내 케이블채널의 수출은 280만달러였다. 미국의 0.03%다. 이는 지상파를 포함한 국내 방송 콘텐츠 전체 수출의 5% 수준이다.
지난해 방송산업 실태조사 결과 179개 PP 중 56%인 101개의 매출이 50억원 미만이었다. 93개 PP는 당기순손실을 냈다. 이 중 66개 PP는 자본잠식 상태다. 국내 케이블업계가 얼마나 영세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다. 돈 잘 버는 PP들이 제작을 외면하는 마당에 수익성 악화를 겪고 있는 영세 PP들이 자체 제작에 나설 리 없다. 싼값의 콘텐츠 수급에 치중하고 있는 것이다.
홍명호 케이블TV방송협회 팀장은 "콘텐츠를 제작하지 않는 풍토에서는 미디어 산업 발전의 선순환 구조를 확립할 수 없다"며 "재방송만으로 손쉽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를 깨야 한다"고 말했다.
유재혁 기자 yoojh@hankyung.com
올 들어서는 횟수가 더 늘었다. 1~5월에만 7개 채널에서 1140회 방영된 것.이런 추세라면 연말까지 2736회가 방영될 전망이다. 매주 한 편씩 제작되는 이 프로그램은 케이블방송을 떠돌며 연간 편당 50차례 이상 재방송되고 있다.
SBS 'TV동물농장'은 재탕 횟수가 더 많다. 지난달 24일 하루 동안 6개 채널에서 20차례나 재방송됐다. 지난 한 해 동안 재탕 횟수는 무려 3230번에 달한다. 올 1~5월엔 2058회,연말까지 4939회에 달할 전망이다. 연간 편당 100회 정도 재방송된다는 계산이다.
지상파 프로그램 '순간포착,세상에 이런 일이' '1박2일' '거침없이 하이킥'과 '지붕뚫고 하이킥' 등도 올해 2500회 이상 방송될 것으로 보인다. 1~5월 재방송 횟수 상위 10편 중 '순간포착'만 지난해보다 횟수가 소폭 줄었을 뿐 나머지 9편은 횟수가 늘었다.
한국경제신문이 최근 조사한 케이블채널의 재방송 실태다. 채널 수는 많지만 인기 콘텐츠만 반복 방송하는 게 케이블 업계의 현실이다. '케이블채널은 재방송채널'이란 말이 입증됐다. 이 때문에 시청자들의 채널 선택권은 설 자리를 잃고 있다.
이는 국내 케이블채널이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보다 외부에서 구매해 방송하는 데 치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번이라도 콘텐츠를 제작한 채널은 전체의 절반에 불과하다. 방송통신위원회 집계에 따르면 187개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중 자체 제작 실적이 있는 곳은 전체의 51%인 96개다. 등록 채널은 많지만 대부분 재방송으로 살림을 꾸려가고 있다는 증거다.
자체 제작 실적이 있다 해도 편성 비율이 10% 미만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1~5월 주요 케이블채널 편성 비율을 보면 코미디채널은 지상파 프로그램 재방송 92%,자체 제작 8%로 나타났다. E채널도 재방송 93%,자체 제작 7%였다. 드라맥스는 지상파 프로그램 재방송 비율이 100%였다.
케이블업계 시청률과 경영실적 '톱10'(2008년 기준)의 지상파 계열 PP도 마찬가지다. SBS 드라마플러스는 자체 제작 비율이 4%에 불과했고,MBC드라마넷은 14%에 그쳤다. 그러나 MBC드라마넷은 매출 949억원,순익 62억원,SBS드라마플러스는 매출 672억원,순익 152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반면 자체 제작 비율이 높은 TvN의 영업이익률은 -22%,엠넷미디어는 -1%로 적자 늪에 빠져 있다. '롤러코스터' 등으로 인기몰이를 한 TvN의 자체 제작 비율은 78%,'슈퍼스타K' 등을 만든 엠넷은 96% 수준이다. 특히 엠넷은 설립 후 17년간 대부분 자체 제작물을 선보였지만 여전히 적자다. TvN 등 10개 채널을 보유한 CJ미디어도 매출 1590억원,손실 336억원을 기록했다.
방송통신위원회 집계에 따르면 CJ미디어가 제작한 콘텐츠 분량은 연간 164만분인 데 비해 KBS MBC SBS 계열 20개 안팎 케이블채널이 제작한 콘텐츠 분량은 75만분으로 CJ미디어의 46%에 불과했다.
지상파 드라마를 재탕하는 케이블채널들의 영업실적은 나는 반면 자체 제작물로 승부하는 채널들의 실적은 기고 있다. 한마디로 구매 비용보다 제작 비용이 훨씬 크기 때문이다. 지상파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을 구입해 방송하는 게 자체 제작하는 것보다 훨씬 저렴한 실정이다.
제작비를 살펴보면 예능 프로그램은 편당 5000만~1억원,드라마는 편당 2억원 안팎이 소요된다. 이에 비해 구입비는 예능 프로그램 편당 300만~400만원,드라마는 편당 1000만~2000만원이다. 미드(미국 드라마)도 편당 700만~1000만원이다. 구입비가 제작비의 10분의 1도 채 안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시청률과 광고 수주는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
이런 사업 환경 때문에 국내 1개 PP의 콘텐츠 제작 실적은 미국 1개 PP의 14% 수준이다. 2008년 국내 187개 케이블채널의 연간 제작 편수는 5700여편이었지만 미국에서는 565개 채널이 9만3600여편을 만들었다.
수출 규모는 더욱 미미하다. 2008년 미국 PP의 수출액은 92억달러인 데 비해 국내 케이블채널의 수출은 280만달러였다. 미국의 0.03%다. 이는 지상파를 포함한 국내 방송 콘텐츠 전체 수출의 5% 수준이다.
지난해 방송산업 실태조사 결과 179개 PP 중 56%인 101개의 매출이 50억원 미만이었다. 93개 PP는 당기순손실을 냈다. 이 중 66개 PP는 자본잠식 상태다. 국내 케이블업계가 얼마나 영세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다. 돈 잘 버는 PP들이 제작을 외면하는 마당에 수익성 악화를 겪고 있는 영세 PP들이 자체 제작에 나설 리 없다. 싼값의 콘텐츠 수급에 치중하고 있는 것이다.
홍명호 케이블TV방송협회 팀장은 "콘텐츠를 제작하지 않는 풍토에서는 미디어 산업 발전의 선순환 구조를 확립할 수 없다"며 "재방송만으로 손쉽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를 깨야 한다"고 말했다.
유재혁 기자 yoo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