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맥스소프트, 워크아웃 신청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 티맥스소프트가 경영정상화를 위해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을 신청했다.
티맥스소프트는 28일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에 워크아웃을 신청했다고 1일 밝혔다.이달 초 1차 심사와 실사를 거쳐 채권단에서 워크아웃 승인 여부를 결정하게 될 예정이다.
티맥스소프트 관계자는 “채권단에서 이번 워크아웃을 거부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워크아웃이 개시되면 지불 채권 유예, 이자 부담감소 등으로 유동성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티맥스소프트는 1997년 박대연 회장이 설립해 2008년 국내 업체 가운데 최초로 매출액 1000억원을 넘는 등 국내 소프트업체 가운데 대표주자였다.하지만 시스템통합(SI) 시장 진출이 실패하고 자체 운영체제(OS) ‘티맥스 윈도’ 개발이 지지부진해지면서 막대한 부채를 지게 됐다.티맥스는 5월 공시한 ‘2009년 사업실적 보고서’에서 지난해 매출 802억원,영업손실 314억원,당기순손실 678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부채 규모는 1688억원에 달한다.
티맥스소프트는 전체 인원의 절반에 해당하는 1000명이 넘는 인력을 구조조정하고 SI 사업을 중단했다.하지만 누적된 부채와 수익 감소로 경영난이 계속 되어왔다.지난 1분기 기준으로 티맥스소프트의 직원은 807명으로 그 가운데 연구직은 156명이다.
티맥스소프트는 지난달 티맥스소프트의 OS 개발을 담당해온 티맥스코어가 삼성SDS에 매각되면서 다소 숨통을 트였다.200여명의 핵심 개발자들이 포진해 있는 티맥스코어가 매각되면서 인건비 부담을 덜게 됐기 때문이다.티맥스코어는 박 회장 소유의 회사로 티맥스소프트와 별도의 지분관계 없이 OS 개발 의뢰를 맡고, 인건비 등 운영비를 티맥스소프트 측으로부터 대여금 형태로 지원 받아왔다.삼성SDS가 유상 증자 형태로 티맥스코어의 지분 51%를 취득하기로 합의하고 자금을 공급하면서 티맥스소프트와 티맥스코어의 부채 관계는 상당 부분 해소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조귀동 기자 claymore@hankyung.com
티맥스소프트는 28일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에 워크아웃을 신청했다고 1일 밝혔다.이달 초 1차 심사와 실사를 거쳐 채권단에서 워크아웃 승인 여부를 결정하게 될 예정이다.
티맥스소프트 관계자는 “채권단에서 이번 워크아웃을 거부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워크아웃이 개시되면 지불 채권 유예, 이자 부담감소 등으로 유동성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티맥스소프트는 1997년 박대연 회장이 설립해 2008년 국내 업체 가운데 최초로 매출액 1000억원을 넘는 등 국내 소프트업체 가운데 대표주자였다.하지만 시스템통합(SI) 시장 진출이 실패하고 자체 운영체제(OS) ‘티맥스 윈도’ 개발이 지지부진해지면서 막대한 부채를 지게 됐다.티맥스는 5월 공시한 ‘2009년 사업실적 보고서’에서 지난해 매출 802억원,영업손실 314억원,당기순손실 678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부채 규모는 1688억원에 달한다.
티맥스소프트는 전체 인원의 절반에 해당하는 1000명이 넘는 인력을 구조조정하고 SI 사업을 중단했다.하지만 누적된 부채와 수익 감소로 경영난이 계속 되어왔다.지난 1분기 기준으로 티맥스소프트의 직원은 807명으로 그 가운데 연구직은 156명이다.
티맥스소프트는 지난달 티맥스소프트의 OS 개발을 담당해온 티맥스코어가 삼성SDS에 매각되면서 다소 숨통을 트였다.200여명의 핵심 개발자들이 포진해 있는 티맥스코어가 매각되면서 인건비 부담을 덜게 됐기 때문이다.티맥스코어는 박 회장 소유의 회사로 티맥스소프트와 별도의 지분관계 없이 OS 개발 의뢰를 맡고, 인건비 등 운영비를 티맥스소프트 측으로부터 대여금 형태로 지원 받아왔다.삼성SDS가 유상 증자 형태로 티맥스코어의 지분 51%를 취득하기로 합의하고 자금을 공급하면서 티맥스소프트와 티맥스코어의 부채 관계는 상당 부분 해소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조귀동 기자 claymo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