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68% "자기계발 강박증 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자기계발 강박증을 가지고 있고 실제로 92.2%는 현재 자기계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자사회원인 직장인 1570명을 대상으로 ‘자기계발 강박증 현황’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절반이 넘는 68.3%가 ‘강박증이 있다’라고 답했다.성별에 따라 살펴보면 여성(71.7%)이 남성(65.1%)보다 자기계발 강박증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자기계발 강박증 때문에 받는 영향으로는 ‘자기계발을 해도 항상 부족함을 느낀다’(49.3%,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택했다.뒤이어 ‘쉴 때도 마음 편히 쉬지 못한다’(35.6%),‘자기계발 생각만 해도 스트레스 받는다’(19.1%),‘매일 자기계발 안 하면 불안하다’(15.4%),‘무리한 자기계발 계획을 세운다’(13.6%),‘계획 없이 아무거나 한다’(11.6%),‘우울증,불면증 등이 생겼다’(9.5%) 등이 있었다.
실제로 직장인들은 자기계발을 얼마나 하고 있을까.조사결과 거의 대부분인 92.2%가 ‘자기계발을 하고 있다’라고 답했다.자기계발 종류로는 ‘영어 회화공부’(33.1%,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다.다음으로 ‘운동 등 체력관리’(31.2%),‘전문 자격증 취득’(28.1%),‘직무 관련 공부’(24.1%),‘온라인 독서교육 등 독서’(22.8%),‘취미, 특기 향상’(22%),‘어학점수 취득 공부’(17.4%),‘재테크’(16.9%) 등이 뒤를 이었다.
성별에 따라 살펴보면 여성은 ‘영어 회화공부’(34.6%, 복수응답)를, 남성은 ‘운동 등 체력관리’(34%)를 가장 많이 선택해 차이를 보였다.자기계발을 하는 이유로는 ‘미래를 위한 투자이기 때문에’(43.4%)를 첫 번째로 꼽았다.이어 ‘자아실현을 위해서’(16.9%),‘실무능력,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서’(15.4%),‘성공적인 이직을 위해서’(11%),‘연봉인상, 승진을 위해서’(4.1%) 등의 순이었다.
자기계발에 투자하는 시간은 일주일 평균 4.2시간, 비용은 한달 평균 11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자기계발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관련 서적을 통한 독학’(44.1%)을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이밖에 ‘학원 등 전문기관 수료’(25.3%),‘동영상 강의 시청’(11.6%),‘동호회 등 스터디’(6.8%) 등이 있었다.
자기계발을 하는데 방해가 된 요소로는 ‘의지 부족’(35.7%)을 첫 번째로 꼽았다.다음으로 ‘시간 부족’(29.6%),‘경제적 부담’(20.2%),‘체력 부족’(7%),‘육아, 집안일’(2.5%) 등이 뒤를 이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
취업포털 사람인이 자사회원인 직장인 1570명을 대상으로 ‘자기계발 강박증 현황’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절반이 넘는 68.3%가 ‘강박증이 있다’라고 답했다.성별에 따라 살펴보면 여성(71.7%)이 남성(65.1%)보다 자기계발 강박증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자기계발 강박증 때문에 받는 영향으로는 ‘자기계발을 해도 항상 부족함을 느낀다’(49.3%,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택했다.뒤이어 ‘쉴 때도 마음 편히 쉬지 못한다’(35.6%),‘자기계발 생각만 해도 스트레스 받는다’(19.1%),‘매일 자기계발 안 하면 불안하다’(15.4%),‘무리한 자기계발 계획을 세운다’(13.6%),‘계획 없이 아무거나 한다’(11.6%),‘우울증,불면증 등이 생겼다’(9.5%) 등이 있었다.
실제로 직장인들은 자기계발을 얼마나 하고 있을까.조사결과 거의 대부분인 92.2%가 ‘자기계발을 하고 있다’라고 답했다.자기계발 종류로는 ‘영어 회화공부’(33.1%,복수응답)가 1위를 차지했다.다음으로 ‘운동 등 체력관리’(31.2%),‘전문 자격증 취득’(28.1%),‘직무 관련 공부’(24.1%),‘온라인 독서교육 등 독서’(22.8%),‘취미, 특기 향상’(22%),‘어학점수 취득 공부’(17.4%),‘재테크’(16.9%) 등이 뒤를 이었다.
성별에 따라 살펴보면 여성은 ‘영어 회화공부’(34.6%, 복수응답)를, 남성은 ‘운동 등 체력관리’(34%)를 가장 많이 선택해 차이를 보였다.자기계발을 하는 이유로는 ‘미래를 위한 투자이기 때문에’(43.4%)를 첫 번째로 꼽았다.이어 ‘자아실현을 위해서’(16.9%),‘실무능력,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서’(15.4%),‘성공적인 이직을 위해서’(11%),‘연봉인상, 승진을 위해서’(4.1%) 등의 순이었다.
자기계발에 투자하는 시간은 일주일 평균 4.2시간, 비용은 한달 평균 11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자기계발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관련 서적을 통한 독학’(44.1%)을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이밖에 ‘학원 등 전문기관 수료’(25.3%),‘동영상 강의 시청’(11.6%),‘동호회 등 스터디’(6.8%) 등이 있었다.
자기계발을 하는데 방해가 된 요소로는 ‘의지 부족’(35.7%)을 첫 번째로 꼽았다.다음으로 ‘시간 부족’(29.6%),‘경제적 부담’(20.2%),‘체력 부족’(7%),‘육아, 집안일’(2.5%) 등이 뒤를 이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