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자금이 여전히 안전자산으로 쏠리고 있다. 금리가 오른 뒤에 예금을 하면 더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는데도 은행 예금에 벌써 부동자금이 몰리는 것은 주식과 부동산시장이 불투명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요즘 같은 장세에는 유럽의 전설적 투자자인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델'이 생각난다. 코스톨라니는 타원형의 달걀을 세워놓고 투자시장이 올라가는 강세장(왼쪽 곡선)과 내려가는 약세장(오른쪽 곡선)으로 구분했다. 쉽게 말해 주식이나 부동산을 저점에서 사서 상승기에 참았다가 고가일 때 더 기다리지 말고 팔라는 모델이다. 특히 금리상승기에는 주식이나 부동산을 팔아 예금으로 돌린 뒤 금리가 정점에 이르렀을 때는 예금에서 채권투자로,다시 채권에서 부동산으로 투자종목을 바꾸라는 내용이다.

코스톨라니의 달걀 모델을 따라 투자한다면 현재의 금리수준이 어디쯤 위치하고,상 · 하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를 판별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현재는 투자처를 찾지 못한 유동자금,즉 유동성이 넘치자 당국이 물가상승 압력과 부동산시장으로의 재쏠림을 막기 위해 금리를 상승 쪽으로 돌릴 가능성이 계속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반도체나 조선 등 일부 업종의 실물경기도 좋기에 출구전략의 하나로서 금리인상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하지만 정책금리가 높아진다고 해서 시중금리까지 높아질 것에 대해선 논란이 분분하다. 은행 쪽에 돈이 계속 들어오면 수익률을 높이기 힘든 은행들이 금리를 정책금리의 인상폭만큼 예금금리를 올릴 수 없다는 게 시중금리 인상불가론의 근거다. 문제는 대출금리다. 예금금리를 생각만큼 높이지 못하더라도 대출금리는 은행수익 확보 차원에서 올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 부동산가격이 하락할 확률이 높아진다고 전문가들은 예측한다.

문제는 실제 시장에서는 금리가 오르는데도 불구하고 부동산 수요가 증가해 가격이 상승하기도 하고,금리가 떨어지고 있는데도 반대로 부동산가격은 하락했다는 점이다. 부동산 투자심리와 경기순환이 금리보다 더 중요한 변수이기 때문이다. 결론은 '달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고전적인 격언으로 귀결된다.

정구학 편집국 부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