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판 뉴타운인 '평양 10만호 주택건설' 과정에서 분양권 전매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당국이 건설에 필요한 재원을 충당하기 위해 개인 간 전매를 허용하고 있다는 분석까지 나온다.

대북 소식통은 2일 "2002년 7 · 1 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 북한에서도 '주택거간꾼'(부동산 중개업자)을 통한 부동산 매매가 암암리에 이뤄지고 있다"며 "그러나 아파트가 건설되기도 전에 분양권이 매매되는 일은 처음"이라고 전했다. 그는 "당의 엄격한 통제로 인해 분양권 전매는 매우 은밀하게 진행되고 있다"며 "암시장에서 99㎡(30평)~165㎡(50평)짜리 아파트 거래가는 1만5000~2만5000달러인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2012년 '강성대국' 건설을 위한 핵심 사업의 일환으로 평양 살림집 10만호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2008년부터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평양시내 만경대구역과 력포구역 등 3~4개 지역에서 진행 중이며,살림집(4~5명 가족 기준으로 방 3칸 이상 설계)은 평균 18~25층의 고층 아파트로 구성된다.

최근 북한 당국은 잇단 경제정책 실패 등으로 평양 10만호 사업에 막대한 국가 예산을 투입할 수 없게 되자 각 기관 등에 2012년 전까지 건설해야 할 주택을 할당했다.

고유환 동국대교수는 "각 기관 담당자들은 기간 내 할당된 아파트를 짓기 위해 분양받은 당사자들에게 건설비 명목으로 금전을 요구하고 있다"며 "이 과정에서 돈이 없는 이들은 분양받은 권한을 타인에게 양도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아파트 건설 때부터 자연스레 분양권 매매가 이뤄지는 셈이다.

대북 라디오 매체인 '열린북한방송' 관계자는 "북한은 평양 10만호 건설을 2012년까지 꼭 성공해야 하는 만큼 향후 북한 내 분양권 전매현상은 더 심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장성호 기자 ja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