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둔화 경고음이 잇따르고 있다. 그동안 세계 경기회복을 주도해 온 중국의 제조업 지표가 지난 1분기를 정점으로 하락세로 돌아선 데다 미국의 고용 및 주택시장,제조업,소비지표 등이 다시 불안한 모습을 보이면서 지난 주말 뉴욕 증시의 다우지수가 연중 최저로 떨어졌다. 여기에 주요 20개국(G20)이 합의한 긴축기조가 본격화되면 글로벌 교역 및 각국의 내수 위축으로 더블딥(경기 이중 침체)이 불가피하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어 긴장하지 않을 수 없다. 세계경제가 다시 침체에 빠질 경우 수출 비중이 워낙 높은 우리경제가 가장 큰 충격을 받게 될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물론 우리경제는 아직 순항중이다. 지난달 무역수지는 75억달러 흑자로 월간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 들어 6월까지 무역흑자는 190억달러로 정부의 올해 목표 200억달러 달성도 무난해 보인다. 정부는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당초 5%에서 5.8%로 상향 조정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하반기 경제 상황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경기선행지수가 5개월 연속 하락하고 있는 것만 봐도 그렇다.

경기가 이미 둔화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견해가 나오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산업생산이 여전히 호조인 것은 소위 '기저효과' 때문이며 전월비 증가율이 3월부터 낮아지고 있는 것은 경기가 이미 지난 1월 꼭지를 쳤다는 분석이다. 더욱이 하반기에는 물가 상승 압력으로 금리도 올려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마디로 여러가지 요인이 녹록지 않다는 얘기다.

따라서 정부는 본격적인 경기둔화 가능성에 대비해 경제운용에 보다 신중을 기하지 않으면 안된다. 하반기의 기준금리 인상 등 출구전략 시행과 관련해서도 이 점 무엇보다 유의해야 한다. 특히 소규모 개방경제의 특성상 대외 충격에 취약(脆弱)할 수밖에 없는 점을 감안, 수출 및 외환시장 대책에도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