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이중고 겪는 워크아웃 기업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A건설사는 얼마 전 건설공제조합을 찾아갔다. 공사이행보증서를 발급받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공제조합은 고개를 가로저었다. "채권단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대상으로 분류한 상태라 어렵다"는 설명이었다. "워크아웃은 기업을 죽이는 게 아니라 살리기 위한 것"이라고 아무리 하소연해도 미동도 하지 않았다. 할 수 없이 주채권은행에 SOS(긴급구조신호)를 쳤다. 은행 관계자가 나서 "은행이 확실히 살릴 테니 보증서를 끊어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당신들이 부실기업으로 분류해놓고 우리보고 지원하라니 말이 되느냐"는 핀잔만 들었다.
비단 공제조합만이 아니다. 은행들에도 워크아웃 업체 지원은 '뜨거운 감자'다. 워크아웃 업체를 살리려면 채무재조정을 해줘야 한다. 이것만으론 부족하다. 신규 자금을 지원해야 한다. 신규 자금을 지원하면 은행들의 부담이 커진다. 워크아웃업체에 대한 여신을 부실여신의 일종인 '고정'으로 분류해야 하기 때문이다.
'고정' 여신에 대해서는 최소 20%에서 최대 49%까지 대손충당금을 쌓아야 한다는 것이 금융감독원의 지침이다. 워크아웃 기업에 100억원의 신규자금을 지원하려면 추가로 최소 20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해야 한다. 대손충당금 적립액은 고스란히 당기순이익 감소로 이어진다.
그러다보니 은행 내 담당부서 간에 의견충돌도 빚어진다. 워크아웃을 담당하는 부서는 신규자금을 지원해 기업을 살리자고 주장한다. 반면 자산건전성을 중시하는 부서에서는 무작정 여신을 늘리는 것은 곤란하다고 맞선다. 금감원의 워크아웃 담당 부서인 기업개선지원단과 건전성 감독 부서인 은행서비스총괄국의 주문이 다르기 때문이다.
죽어나는 건 워크아웃업체다. 주채권은행마저 지원을 망설이는 판이니 다른 기관에 도와달라고 손벌리기도 쑥스럽다. "만일 워크아웃업체의 신용상태를 봐서 대손충당금을 7~19%만 쌓으면 되는 요주의 여신으로 분류할 수 있는 융통성을 은행들에 준다면 워크아웃 업체에 대한 지원도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는 은행 관계자의 얘기가 설득력을 갖는 이유다.
정재형 경제부 기자 jjh@hankyung.com
그런데 공제조합은 고개를 가로저었다. "채권단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대상으로 분류한 상태라 어렵다"는 설명이었다. "워크아웃은 기업을 죽이는 게 아니라 살리기 위한 것"이라고 아무리 하소연해도 미동도 하지 않았다. 할 수 없이 주채권은행에 SOS(긴급구조신호)를 쳤다. 은행 관계자가 나서 "은행이 확실히 살릴 테니 보증서를 끊어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당신들이 부실기업으로 분류해놓고 우리보고 지원하라니 말이 되느냐"는 핀잔만 들었다.
비단 공제조합만이 아니다. 은행들에도 워크아웃 업체 지원은 '뜨거운 감자'다. 워크아웃 업체를 살리려면 채무재조정을 해줘야 한다. 이것만으론 부족하다. 신규 자금을 지원해야 한다. 신규 자금을 지원하면 은행들의 부담이 커진다. 워크아웃업체에 대한 여신을 부실여신의 일종인 '고정'으로 분류해야 하기 때문이다.
'고정' 여신에 대해서는 최소 20%에서 최대 49%까지 대손충당금을 쌓아야 한다는 것이 금융감독원의 지침이다. 워크아웃 기업에 100억원의 신규자금을 지원하려면 추가로 최소 20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해야 한다. 대손충당금 적립액은 고스란히 당기순이익 감소로 이어진다.
그러다보니 은행 내 담당부서 간에 의견충돌도 빚어진다. 워크아웃을 담당하는 부서는 신규자금을 지원해 기업을 살리자고 주장한다. 반면 자산건전성을 중시하는 부서에서는 무작정 여신을 늘리는 것은 곤란하다고 맞선다. 금감원의 워크아웃 담당 부서인 기업개선지원단과 건전성 감독 부서인 은행서비스총괄국의 주문이 다르기 때문이다.
죽어나는 건 워크아웃업체다. 주채권은행마저 지원을 망설이는 판이니 다른 기관에 도와달라고 손벌리기도 쑥스럽다. "만일 워크아웃업체의 신용상태를 봐서 대손충당금을 7~19%만 쌓으면 되는 요주의 여신으로 분류할 수 있는 융통성을 은행들에 준다면 워크아웃 업체에 대한 지원도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는 은행 관계자의 얘기가 설득력을 갖는 이유다.
정재형 경제부 기자 j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