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탠(Suntanning)세에 열받은 미국 선탠방 업자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 미국 ‘선탠방(房)’업자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실내에서 자외선 등을 활용해 피부색을 검게 그을리는 인공 태닝(tanning)서비스에 대해 미국 정부가 지난주부터 10%의 추가세금을 매기기 시작하자 수입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8일 워싱턴포스트(WP)는 “오바마 정부가 의료개혁 방안의 일환으로 7월부터 선탠세(稅)를 시행한 이후로 고객과 수입이 줄어든 선탠방 업자들이 억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크게 늘고 있다”고 보도했다.
WP에 따르면 미국에는 1만9000여개의 ‘태닝살롱(tanning salon)’이 있는데,일부 매장에서는 제도 시행 일주일 사이에 매출이 20~30%가량 줄어드는 등 ‘선탠세’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워싱턴에 7개의 체인점을 둔 ‘솔라플래닛’이 대표적이다.스캇 쇼트너시 솔라플래닛 대표는 “26년동안 이 사업을 해왔지만 올해가 최악”이라며 “선탠을 생활의 일부로 여기는 고객들로서는 요금이 높아질 경우 매장 방문 횟수를 줄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솔라플래닛 알링턴 지점의 경우 햇빛을 자주 보지 못하는 미 국방부 직원 등을 고정 고객으로 둬 하루 300건의 예약이 몰리곤 했다.하지만 지금은 160건으로 절반가량 줄어든 상태다.
선탠방 업자들은 업종 자체가 영세업인데다,직원의 80% 가량이 여성인 만큼 이들을 희생양으로 삼은 정부의 의료개혁 정책은 ‘타깃이 잘못 정해진 정책’이라며 강력히 비판하고 있다.부유층의 여윳돈을 거둬 의료재정을 확충하려면 보톡스 같은 미용 성형수술 등 좀더 ‘럭셔리’한 서비스를 세원으로 지목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하지만 이미 새 제도가 시행된 터라 업자들은 불만토로 보다는 신규고객 유치 방안 모색 등 살길찾기에 좀더 고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WP는 전했다.
한편 미국 정부는 당초 태닝이 아닌 보톡스 등 유사성형수술 서비스 등에 추가소비세를 매기려 했지만,성형외과 의사들이 강력하게 반발하는 등 논란이 거세지자 차선책으로 선탠세를 도입하는 쪽으로 타깃을 바꿨다.자외선을 활용한 실내 태닝이 피부암을 일으키는 등 건강에 좋지 않은 만큼 세금을 매기면 이용인구가 줄어들고 의료재정도 확충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
8일 워싱턴포스트(WP)는 “오바마 정부가 의료개혁 방안의 일환으로 7월부터 선탠세(稅)를 시행한 이후로 고객과 수입이 줄어든 선탠방 업자들이 억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크게 늘고 있다”고 보도했다.
WP에 따르면 미국에는 1만9000여개의 ‘태닝살롱(tanning salon)’이 있는데,일부 매장에서는 제도 시행 일주일 사이에 매출이 20~30%가량 줄어드는 등 ‘선탠세’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워싱턴에 7개의 체인점을 둔 ‘솔라플래닛’이 대표적이다.스캇 쇼트너시 솔라플래닛 대표는 “26년동안 이 사업을 해왔지만 올해가 최악”이라며 “선탠을 생활의 일부로 여기는 고객들로서는 요금이 높아질 경우 매장 방문 횟수를 줄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솔라플래닛 알링턴 지점의 경우 햇빛을 자주 보지 못하는 미 국방부 직원 등을 고정 고객으로 둬 하루 300건의 예약이 몰리곤 했다.하지만 지금은 160건으로 절반가량 줄어든 상태다.
선탠방 업자들은 업종 자체가 영세업인데다,직원의 80% 가량이 여성인 만큼 이들을 희생양으로 삼은 정부의 의료개혁 정책은 ‘타깃이 잘못 정해진 정책’이라며 강력히 비판하고 있다.부유층의 여윳돈을 거둬 의료재정을 확충하려면 보톡스 같은 미용 성형수술 등 좀더 ‘럭셔리’한 서비스를 세원으로 지목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하지만 이미 새 제도가 시행된 터라 업자들은 불만토로 보다는 신규고객 유치 방안 모색 등 살길찾기에 좀더 고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WP는 전했다.
한편 미국 정부는 당초 태닝이 아닌 보톡스 등 유사성형수술 서비스 등에 추가소비세를 매기려 했지만,성형외과 의사들이 강력하게 반발하는 등 논란이 거세지자 차선책으로 선탠세를 도입하는 쪽으로 타깃을 바꿨다.자외선을 활용한 실내 태닝이 피부암을 일으키는 등 건강에 좋지 않은 만큼 세금을 매기면 이용인구가 줄어들고 의료재정도 확충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