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수산식품부와 중소기업청이 2010년까지 농 · 공 · 상 융합형 중소기업 300개사를 육성하겠다고 나섰다. 이를 위해 농식품 모태펀드 조성, 농식품산업특구 개발, 창업촉진 및 규제완화, 시장확대 등 지원방안을 강구한다는 것이다. 어제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농 · 공 · 상 융합형 중소기업 육성전략'을 정부가 제시한 것은 농어업을 2,3차 산업과 연계하여 고부가가치 분야로 키우겠다는 의지로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농어업의 혁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한다.

이번 대책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정부가 농 · 공 · 상 융합형 중소기업을 농어업인과 중소기업인이 유기적으로 원료조달 · 제조가공 · 기술개발을 연계한 기업으로 정의한 대목이다. 농어업인과 기업이 공동출자한 '공동출자형'기업, 농어업인과 중소기업이 원료공급, 신제품 개발을 위해 장기계약 하에 상호협력하는 '전략적 제휴형' 기업, 농어업인(경영체)이 제조 · 가공까지 경영을 확장하는 '농어업인 경영형' 기업 등이 모두 여기에 해당한다. 정부 의도대로 된다면 농어업은 융합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맞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사실 지금은 어느 분야할 것 없이 융합의 시대다. 이런 융합의 시대에 적응하려면 개방형 혁신시스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농어업도 예외가 아니다. 덴마크가 농업 혁신에 성공한 것은 외부의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농업에 접목되는 등 기업가정신이 발현되었기에 가능했다. 한마디로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혁신 사례들이 농어업에 적극적으로 활용되면 농업이 새로이 발전할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농어업이 식품, 종자, 제약, 의료 등 전후방 산업과 융합돼 생명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는 것이 그 단적인 사례다.

농어업은 개방을 두려워하는, 그래서 보호되어야 할 분야라는 고정관념에 더 이상 갇혀 있어서는 안된다. 농어업의 구조조정은 미래에 대한 대안이 있을 때 비로소 가능하다. 그런 점에서 이번 농 · 공 · 상 융합형 중소기업 300개 육성을 계기로 농어업과 첨단기술의 접목을 확대하는 등 농어업을 미래의 핵심산업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정책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