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7 · 28 재 · 보선 이후가 유력했던 개각시기가 앞당겨지는 분위기다. 무엇보다 여권 내 권력 갈등 때문이다. 파워 게임은 개각과 청와대 참모 인선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양상이다. 때문에 인사가 늦어질수록 부작용이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권에선 재 · 보선 이전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개각을 반전의 카드로 내놓음으로써 하반기 국정주도권을 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일단 장수 장관을 중심으로 교체 가능성이 거론된다. 8월로 임기 2년을 맞거나 이를 넘긴 장관은 교육과학기술,문화체육관광,농림수산식품,보건복지,환경,국토해양,외교통상부 장관 등 7명이다. 그러나 분야별로 현안이 있어 단순히 재임기간을 잣대로 교체를 점치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 교과부 장관에는 이주호 제1차관이,국토부 장관에는 백용호 국세청장과 장광근 한나라당 의원 등이 각각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의 후임으로는 김성환 청와대 외교안보수석과 이태식 전 주미대사가 거론되고 있지만,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 준비 때문에 교체가 미뤄질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총리는 세대 교체보다 화합형 인사가 발탁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임태희 대통령 실장이 세대 교체를 반영하는 동시에 실무형이어서 화합형 총리와는 '조화'를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