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단기 채권가격 실시간지수 처음 나왔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한국채권평가·금투협
KEBI지수 4개로 라인업 완성
ETF통한 개인 소액투자 쉬워져
KEBI지수 4개로 라인업 완성
ETF통한 개인 소액투자 쉬워져
단기 채권과 장기 채권의 장중 가격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채권지수가 국내 최초로 개발됐다. 이에 따라 한경종합채권지수(KEBI)는 종합국고채지수에 이어 장 · 단기 채권지수를 갖춰 채권시장 발전의 필수 인프라로 꼽히는 실시간 채권지수의 라인업 구축 작업을 완성했다.
국내 채권평가시장 1위 업체인 한국채권평가와 금융투자협회,한국경제신문은 11일 단기 채권 실시간 지수인 KEBI 머니마켓인덱스(MMI)와 KEBI 장기국고채지수(LTBI)를 공동 개발했다. 장 · 단기 채권 실시간 지수가 산출된 것은 국내에서 처음이다.
전문가들은 마치 주식시장의 코스피지수처럼 KEBI 지수를 통해 단기 · 중기 · 장기 채권시장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완료됐다고 평가하고 있다.
한국채권평가 등 3사는 이번 장 · 단기 채권 실시간 지수 개발에 앞서 지난해 7월 채권시장 전반의 가격 동향을 보여주는 'KEBI 종합국고채지수'를 출범시켰다. 같은 해 9월에는 국채선물바스켓에 편입되는 만기 3년짜리 국고채 3종목의 시세를 추적하는 'KEBI F3'를 선보인 바 있다.
채권 실시간 지수의 구색이 갖춰짐에 따라 개인투자자들의 채권 투자가 한결 수월해질 전망이다.
자산운용사들이 KEBI 머니마켓인덱스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설정하면,개인들이 10만~20만원의 소액으로도 단기 채권에 간접 투자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시장에서 직접 거래되는 호가로 지수를 산출해 채권시장 흐름을 잘 반영하는 KEBI 지수는 ETF나 현물거래 때 투자 방향을 결정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금리 인상기에 본격 들어감에 따라 평균 만기 6개월짜리 단기 채권 가격을 실시간으로 반영,금리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한 KEBI 머니마켓지수가 ETF 등에 많이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박병주 금융투자협회 증권서비스본부장은 "이번 장 · 단기 실시간 지수 개발은 채권시장의 핵심 인프라 구축이 마무리됐음을 의미한다"며 "이 지수를 활용한 다양한 상품 출현이 가능해져 채권시장을 업그레이드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백광엽 기자 kecorep@hankyung.com
국내 채권평가시장 1위 업체인 한국채권평가와 금융투자협회,한국경제신문은 11일 단기 채권 실시간 지수인 KEBI 머니마켓인덱스(MMI)와 KEBI 장기국고채지수(LTBI)를 공동 개발했다. 장 · 단기 채권 실시간 지수가 산출된 것은 국내에서 처음이다.
전문가들은 마치 주식시장의 코스피지수처럼 KEBI 지수를 통해 단기 · 중기 · 장기 채권시장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완료됐다고 평가하고 있다.
한국채권평가 등 3사는 이번 장 · 단기 채권 실시간 지수 개발에 앞서 지난해 7월 채권시장 전반의 가격 동향을 보여주는 'KEBI 종합국고채지수'를 출범시켰다. 같은 해 9월에는 국채선물바스켓에 편입되는 만기 3년짜리 국고채 3종목의 시세를 추적하는 'KEBI F3'를 선보인 바 있다.
채권 실시간 지수의 구색이 갖춰짐에 따라 개인투자자들의 채권 투자가 한결 수월해질 전망이다.
자산운용사들이 KEBI 머니마켓인덱스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설정하면,개인들이 10만~20만원의 소액으로도 단기 채권에 간접 투자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시장에서 직접 거래되는 호가로 지수를 산출해 채권시장 흐름을 잘 반영하는 KEBI 지수는 ETF나 현물거래 때 투자 방향을 결정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금리 인상기에 본격 들어감에 따라 평균 만기 6개월짜리 단기 채권 가격을 실시간으로 반영,금리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한 KEBI 머니마켓지수가 ETF 등에 많이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박병주 금융투자협회 증권서비스본부장은 "이번 장 · 단기 실시간 지수 개발은 채권시장의 핵심 인프라 구축이 마무리됐음을 의미한다"며 "이 지수를 활용한 다양한 상품 출현이 가능해져 채권시장을 업그레이드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백광엽 기자 kecor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