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암 발생과 전이를 억제하는 새로운 작동 경로를 규명,암 진단과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11일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산소가 적은 상황에서 렙틴(reptin) 단백질을 메틸화하면,히프원(HIF-1) 단백질의 기능을 막아 암의 진행을 선택적으로 억제한다는 내용의 새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 전문지인 셀(Cell)의 자매지 '몰레큘라셀(Molecular Cell)' 표지 논문으로 지난 9일 선정됐다.

종양 내부에는 암세포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저산소 영역이 발생한다. 또 렙틴 단백질은 암 전이를 억제하는 유전자(KAI1 · 카이원)의 발현을 조절,암 발생과 전이 과정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런 기능의 렙틴 단백질에 존재하는 라이신 아미노산이 산소가 적은 상황에서 특이하게 메틸화되면 렙틴이 암의 진행과 전이를 촉진하는 유전자의 발생을 돕는 히프원 단백질과 결합해 그 기능을 억제한다는 것이다. 메틸화(methylation)란 유기화합물의 수소 원자를 메틸기(-CH3)로 치환하는 반응을 말한다.

이번 연구에서 백 교수팀은 쥐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렙틴의 메틸화가 암 진행 및 전이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검증했다.

실험 결과,렙틴의 양을 줄이거나 메틸화가 안 되는 렙틴의 돌연변이체를 과발현시킨 암세포를 쥐에 주사하면 암 진행이 촉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연구진은 렙틴의 메틸화 여부가 향후 암의 진행과 전이를 진단하는 마커(암 판별물질)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국내외 특허출원을 완료했다.

백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암 진단과 치료제 개발에 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향후 신개념 항암제 개발까지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