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TAXI)'라는 말은 라틴어 '탁사(TAXA)'에서 유래됐다. 탁사는 무언가를 평가하거나 부담을 지게 할 때 사용되는 말인데 세금을 의미하는 '택스(TAX)'도 여기서 비롯됐다. 미국에서는 초창기 택시를 '택시 캡(Taxi cab)'으로 불렀다. 요금을 부과하는 택시,그리고 마차가 이끄는 탈 것을 의미하는 '캡(Cab)'이 합쳐진 단어다. 지금도 영국이나 미국에선 택시를 '캡'으로 부른다.

택시의 기원은 일정한 비용을 내고 목적지까지 가는 수단이었던 마차로 거슬러 올라간다. 마차 요금은 주로 흥정에 의해 결정됐는데 마차를 이끄는 말의 숫자에 따라 일반 마차와 고급 마차로 구분됐다.

자동차가 등장한 후 마차는 택시에 자리를 내줬다. 근대적 의미의 택시가 등장한 것은 요금 부과 체계가 바뀌면서다. 초창기에는 이동 시간을 요금으로 전환해 돈을 받았지만 1891년 독일 사람 빌헬름 부룬이 택시미터(taxi meter)를 만들면서 요금 체계가 '미터(m)'라는 단위로 바뀌게 된다. 이동하는 거리만큼 연료사용량이 달라지는 것에 착안해 바퀴의 회전속도로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이 사용됐다.

택시의 저변이 넓어진 것은 1896년 미국 뉴욕의 아메리카 전기자동차의 마케팅 덕이다. 이 회사는 판촉을 위해 200여대를 택시로 운영했는데 인기가 대단했다. 마차에 의존하던 사람들에게 택시는 조용하고 편한 이동수단이었던 것.전기 택시를 타고 내릴 때 수많은 사람들의 부러운 시선이 부자들의 지갑을 열게 했다는 분석도 있다.

비슷한 시기 독일에서는 속도가 빠른 휘발유 엔진 택시가 나타났다. 1898년 독일인 크라이너가 슈투트가르트에서 다임러가 만든 승용차를 몇 대 사들여 매일 70㎞가량 영업을 시작했다. 내연기관의 특성상 시끄럽고,냄새가 많이 났지만 귀족들의 전유물인 자동차를 누구나 탈 수 있었다는 점에서 중산층의 시선이 집중됐다.

영국에서는 1905년 택시가 등장했다. 미터기의 필요성을 느껴 당시 바퀴의 회전속도를 미터기에 기계식으로 연결해 사용했는데,요금을 두고 벌어지는 사소한 싸움이 말끔히 해결돼 신사들이 즐겨 애용했다. 크고 넓게 만들어진 영국 택시 '블랙 캡(balck cap)'은 런던의 명물이다. 택시전용 자동차를 만들었다는 점이 다른 나라와 구분되는 특징이다.

한국의 택시는 일본에 의해 도입됐다. 1912년 일본인 2명이 한국인을 앞세워 포드 T형 2대를 도입해 운행한 것이 시초다. 그러나 미터기가 없어 시간제로 차를 임대해 주는 방식이 사용됐다.

1960년대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보급이 늘면서 보다 편안한 운행을 원하는 사람을 위해 고급 택시가 나왔다. 차 값이 비싼 만큼 사용료 또한 비싸 주로 의전용으로 사용됐다. 택시에도 등급이 생겼던 것.

이후 나라별로 운행되던 택시는 지역과 정서에 맞도록 개별 진화를 거듭하게 된다. 미국과 영국은 택시를 고급 교통수단으로 여겨 대형차를 택시로 많이 사용했다. 100% 해외에 에너지를 의존해야 했던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값이 저렴한 LPG 연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도가 정비돼 LPG 택시가 등장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택시의 형태가 무척 다양해 질 것으로 보고 있다. '택시'라는 용어가 자동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이동수단에 적용될 수 있어서다. 이미 서울 한강 나루터를 오가는 수상택시가 등장했다. 해외에선 비행기 택시가 영업을 시작했다.

하이브리드와 수소연료전지,전기차의 등장도 택시 다양화를 이끌 전망이다. 택시의 범위가 어디까지 확대될지 궁금하다.

권용주 오토타임즈 기자 soo4195@aut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