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내 8개 성(省)과 시(市)가 최근 각 기업에 근로자의 연간 임금인상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고 관영 차이나데일리가 13일 보도했다.

이는 지방정부가 직접 임금 인상을 촉구해 소득격차를 해소하려는 조치의 일환이라고 이 신문은 전했다.

이미 임금인상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곳은 베이징(北京)을 포함해 허베이(河北), 산시(陝西)성, 산둥(山東)성, 지린(吉林)성, 장시(江西)성, 산시(山西)성, 톈진(天津)시 등이다.

이 가운데 베이징 당국은 시내 각 기업에 연평균 11%의 임금인상 가이드라인을 전달했다.

최고와 최저선은 각각 16%와 3%로 정했다.

그러나 여전히 경제위기의 여파에서 아직 못 벗어난 기업들은 이런 인상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차이나데일리는 전했다.

허베이성은 임금가이드라인의 최고선을 28%, 최저선을 8%로 제시했다.

베이징에 있는 수도경제무역대학 노동경제학원의 뤠쉐징 교수는 "지방정부가 임금가이드라인을 정해 각 기업을 압박함으로써 소득격차 해소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뤠 교수는 "그동안 중국 경제가 급속 성장하면서 근로자들에게 노동강도는 갈수록 세진 반면 상대적으로 저임금을 강요당했다"며 "이제는 정부가 나서 이런 불평등한 상황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베이징연합뉴스) 인교준 특파원 kji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