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우리금융지주의 민영화를 예정대로 추진키로 최종 결정했다.

금융위원회는 16일 보도자료를 내고 이번 달 안에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확정하겠다고 발표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또 다시 시점을 연기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관계기관과의 협의도 마쳤다"고 말했다.

당초 금융위는 지난달 말까지 민영화 방안을 발표하기로 했으나 청와대의 반대로 시한을 지키지 못했다. 금융위의 민영화 방식은 정부가 지분 일괄매각이나 분산매각,합병 등 민영화 방식을 결정하지 않고 인수희망자의 투자제안서를 받아 결정한다는 계획이었다. 청와대는 그러나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민영화 방안을 마련해 추진할 것을 요구,진도가 나가지 못했다.

금융위는 "KB금융의 불참선언 등으로 시장 상황이 불확실하지만 복수의 유력 인수후보자가 나타날 때까지 더 이상 기다리기도 어렵다"며 "민영화가 장기 표류하는 데 따른 부담이 더 크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시장 제안을 접수받는 방식이 특정 매각방식을 정부가 결정해 진행하는 것보다 투명한 데다 특혜시비도 차단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청와대를 설득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민간위원들도 15일 저녁 비공식 간담회를 갖고 "예정대로 민영화 절차를 밟겠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혀 시장의 혼선을 줄이는 것이 좋겠다"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했다.

공자위 관계자는 "현재 형성된 모멘텀을 살려 시장에 맡겨보면 의외의 인수후보나 투자자가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례로 대우인터내셔널도 포스코 단독응찰로 자칫 매각이 지연될 것이라는 분석이 많았으나 롯데가 인수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성공적인 매각으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시장에서도 정부가 공개적으로 입장을 표명한 만큼 더 이상의 번복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금융 고위 관계자는 "청와대 조직개편 등으로 당초보다 좀 늦어진 것 같다"며 "이번에는 확실히 발표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달 말 발표되는 민영화 방안은 우리금융을 공개입찰방식으로 매각하고 이를 위한 매각주간사를 선정,가급적 이른 시일 내 절차를 진행한다는 내용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경남,광주은행 등 우리금융 자회사에 대한 분리매각 등 민영화의 큰 골격은 담길 것으로 전해졌다.

최상목 공자위 사무국장은 "공자위에서 민영화 방안에 대한 상당한 논의의 진전을 이뤘다"면서 "자회사 분리매각을 어디까지 할 것인지 등 테크니컬한 이슈만 남아 있다"고 말했다. 금융권에서는 공자위가 경남,광주은행은 분리매각하기로 의견을 모았지만,우리투자증권의 분리 매각 여부에 대해 결론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공자위원들은 앞으로 2주일간 우리투자증권의 분리매각 여부를 집중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