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럽게 사지가 마비돼 병상에 누워야 했던 신경과 의사가 장애를 딛고 국내 최고 권위의 서울대병원 주임교수에 올라 화제다.

주인공은 서울대병원 신경과 전범석 교수(52).그는 지난 16일자 인사에서 서울대의대 신경과학교실 주임교수가 됐다. 또한 서울대병원에서는 신경과 진료과장도 맡았다.

의대에서 주임교수 자리는 '의사의 꽃'으로 불린다. 해당 진료분야에서 최고의 실력과 권위를 인정받는 것은 물론 신경과학교실 소속 의사들에 대한 인사권과 운영권을 갖기 때문이다.

특히 서울대의대 신경과학교실은 본원인 서울대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보라매병원 등 3개 병원을 합쳐 의사(교수 23명,전공의 42명)만 65명이나 될 정도로 규모가 커 주임교수의 의미가 남다르다. 그런데 이런 자리를 사지마비의 장애를 극복한 전 교수가 맡게 된 것이다. 주변에서는 이를 두고 '인간승리'라고 하지만 전 교수는 지난 시간이 '자신과의 싸움'이라고 회고한다.

전 교수에게 불행이 닥친 것은 2004년 6월5일.전 교수는 이날도 평소 주말처럼 점심을 먹은 뒤 고등학교 후배와 함께 남한산성에 올랐다. 그런데 정상에 올라서는 순간 그는 원인을 알 수 없는 졸도로 쓰러졌고,팔다리를 전혀 움직일 수 없는 마비상태에 빠졌다.

국내 최고의 신경과 전문의가 자신의 전공 분야인 신경마비 증세로 꼼짝없이 병상에 누운 처지가 된 것이다. 하지만 이때부터 그의 삶에 대한 의지는 더욱 빛났다. 그가 재활치료에 전념할 수 있었던 것은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지 않고,살아있는 자체를 '기적'으로 믿는 긍정의 힘이었다. 전 교수는 "척수손상은 호흡 마비를 유발할 수 있었는데 호흡이 마비되지 않았던 것도 기적이요,사고를 당한 내가 척수손상에 대해서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던 것 또한 기적"이라고 말했다.

이런 긍정의 힘으로 그는 사고 9개월 뒤 정말 기적처럼 다시 일상으로 돌아왔다. 이후 50여편의 SCI 논문을 발표할 정도로 연구활동도 왕성해졌고,환자 진료도 사고 전처럼 1주일에 네 번씩 했다. 전 교수는 "많은 사람이 사고를 당하면 실망과 좌절,우울감에 빠지지만 이런 생각으로는 절대 병마를 극복할 수 없다"면서 "현실을 받아들이고,병마를 어떻게 이겨낼지 하루빨리 생각을 전환하는 게 중요하다"고 권고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