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가 어제 행정안전부 방송통신위원회 등과 공동으로 스마트워크 활성화 전략을 내놨다. 우리 사회의 저출산 · 고령화, 낮은 노동생산성 등 당면 현안을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일할 수 있는 이른바 '스마트워크'를 통해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2015년까지 스마트워크 근무율을 전체 노동인구의 30%까지 높인다는 게 목표다. 세계 최고의 IT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스마트워크 도입이 저조한 우리의 근무 현실이 얼마나 바뀔 수 있을지 관심이다.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통해 일하는 방식을 선진화하자는 점에는 이견이 있을 수 없다. 이번 전략이 제대로 추진되면 수도권 근로자의 경우 원격근무 1인당 약 90분의 출 · 퇴근 시간이 절감되고, 사무직 860만명이 동참할 경우 연간 111만t의 탄소배출량과 1조6000억원의 교통비용이 감소될 것으로 정부는 전망했다. 이 밖에도 현재 우리나라 1인당 노동시간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비해 1.3배 길고 업무생산성은 미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는 점, 여성인력 활용이 요구되고 있음에도 일과 육아 병행의 어려움이 걸림돌이 되고 있는 점 등을 생각하면 스마트워크로의 전환은 빠를수록 좋다는 생각이다.

문제는 스마트워크로 가야 한다는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이를 우리 사회에 제대로 착근시키는 일은 말처럼 쉽지 않다는 데 있다. 정부는 유휴공간 등을 활용한 스마트워크 센터 확대, 보다 빠른 인터넷 서비스, 와이파이 이용 지역의 확대 등 스마트워크 인프라를 크게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기술적 인프라를 늘리거나 공급자 마인드로 접근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생각이다. 우리 사회의 뿌리깊은 대면 중심 조직문화 등을 생각하면 문화적 · 제도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정부가 더 많은 역점을 두지 않으면 안된다는 얘기다.

그런 점에서 스마트워크에 적합한 조직 및 인사제도 혁신, 스마트워크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스마트워크에 대한 보안문제 등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기술적 가능성과 사회적 수용성이 제대로 결합됐을 때 비로소 실질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