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참여정부 인사 도청 논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총리실, 與의원 부인 사찰 의혹도
국정원이 지난해 대북 문제 수사를 이유로 참여정부 출신 친노 인사에 대한 광범위한 도 · 감청을 실시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국회 정보위 민주당 간사인 최재성 의원은 22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국정원이 이해찬 국무총리 시절 이강진 전 총리실 공보수석에 대해 특별한 혐의점도 없이 지난해 초 영장을 발부받아 2~6월 4개월간 합법을 가장한 도 · 감청을 실시했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영장 내용에 대해 "휴대폰 위치 및 착발신 이력 추적,음성 · 문자메시지 확인,부인 명의의 집전화 감청,우편물 열람,이메일 내역 및 내용 열람,IP 추적을 통한 로그인 내역 열람,타인 대화 감청 및 녹음을 실시하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또 "이 전 수석은 2007년 남북 정상회담에 앞서 통치권적 차원에서 이뤄진 이 전 총리의 방북과 연관된 대북 접촉 과정에 대해 최근 국정원에서 몇 가지 참고조사를 받았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 전 수석 외에도 친노 인사인 이화영 전 열린우리당 의원도 이 전 수석과 같은 날 같은 사안으로 국정원 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 핵심 관계자는 "이들 인사가 북한 정찰총국 연계간첩 '흑금성'이 중국 베이징 등지에서 만난 북한 인사와 접촉한 것을 놓고 조사가 이뤄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정원은 보도자료를 내고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자에 대한 합법적이고 정상적인 수사활동의 일환"이라며 법률에 근거한 정당한 안보수사 활동과 관련된 정치권의 일방적인 왜곡주장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한편 남경필 한나라당 의원은 이날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이 자신의 부인과 관련한 형사사건을 탐문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어떤 선에서 누구 지시에 의해 이런 불법사찰이 벌어졌는지,얼마나 광범위하게 했는지 검찰이 명명백백하게 밝혀주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남 의원은 "이 사건은 개인적 문제가 아니라 국가 존립의 문제이자 이명박 정부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릴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구동회 기자 kugija@hankyung.com
국회 정보위 민주당 간사인 최재성 의원은 22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국정원이 이해찬 국무총리 시절 이강진 전 총리실 공보수석에 대해 특별한 혐의점도 없이 지난해 초 영장을 발부받아 2~6월 4개월간 합법을 가장한 도 · 감청을 실시했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영장 내용에 대해 "휴대폰 위치 및 착발신 이력 추적,음성 · 문자메시지 확인,부인 명의의 집전화 감청,우편물 열람,이메일 내역 및 내용 열람,IP 추적을 통한 로그인 내역 열람,타인 대화 감청 및 녹음을 실시하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또 "이 전 수석은 2007년 남북 정상회담에 앞서 통치권적 차원에서 이뤄진 이 전 총리의 방북과 연관된 대북 접촉 과정에 대해 최근 국정원에서 몇 가지 참고조사를 받았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 전 수석 외에도 친노 인사인 이화영 전 열린우리당 의원도 이 전 수석과 같은 날 같은 사안으로 국정원 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 핵심 관계자는 "이들 인사가 북한 정찰총국 연계간첩 '흑금성'이 중국 베이징 등지에서 만난 북한 인사와 접촉한 것을 놓고 조사가 이뤄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정원은 보도자료를 내고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자에 대한 합법적이고 정상적인 수사활동의 일환"이라며 법률에 근거한 정당한 안보수사 활동과 관련된 정치권의 일방적인 왜곡주장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한편 남경필 한나라당 의원은 이날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이 자신의 부인과 관련한 형사사건을 탐문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어떤 선에서 누구 지시에 의해 이런 불법사찰이 벌어졌는지,얼마나 광범위하게 했는지 검찰이 명명백백하게 밝혀주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남 의원은 "이 사건은 개인적 문제가 아니라 국가 존립의 문제이자 이명박 정부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릴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구동회 기자 kugi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