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협력 사례가 크게 늘고 있는 추세다. 특히 1차 협력업체뿐 아니라 2~4차 협력업체까지 상생협력의 외연이 넓어지고 있는 양상이어서 주목을 모은다.

포스코는 어제 1차 협력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해온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2~4차 협력기업으로 확대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1차 협력기업과 남품단가를 조정할 때 2~4차 협력기업에도 동일한 효과가 미치도록 계약 약관에 반영하고, 2~4차 협력기업도 3000억원 규모의 상생보증 프로그램과 20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펀드를 이용토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앞서 현대자동차도 2~3차 협력업체로 품질 · 기술 지원대상을 확대하고 고위 경영진까지 직접 나서 현장 방문 점검활동을 벌이고 있다. 그런가 하면 KT는 중소기업의 자원이 낭비되지 않게 하고, 기술개발 아이디어를 가로채지 않으며, 중소기업과의 경쟁환경을 조성하지 않겠다는 이른바 3불(不)정책을 약속하기도 했다.

최근 고조되고 있는 이런 노력은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호 윈-윈을 추구하고 있음이 분명한 까닭이다. 중소기업들의 경우 제품을 구매해주는 대기업 울타리가 없으면 경영활동에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고, 대기업들 또한 협력업체의 뒷받침이 없으면 제품 품질향상이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기 힘들다는 것은 새삼 설명이 필요치 않다.

중요한 것은 이 같은 상생 협력은 시장을 키우고, 부가가치를 높이며, 기술 수준을 업그레이드하는 형태의 성과창출형 협력이 돼야 한다는 점이다. 단순히 파이를 나눠먹는 형태에 그친다면 중소기업의 대기업 의존이 한층 심화되고 원천기술을 가진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도 더욱 요원해질 수밖에 없다. 요즘 활발해지고 있는 대기업-중기 상생 노력이 산업수준의 한 단계 도약(跳躍)과 국가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민 · 관이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