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CEO] ㈜효일종합상사‥고효율 펌프솔루션 유통 '그린열풍' 주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이 기사는 BizⓝCEO 기획특별판 입니다 >
㈜효일종합상사(대표 최진구)는 고효율 펌프 솔루션 유통으로 건설업계에 '녹색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강소 유통 기업이다.
1995년 설립된 이 회사는 펌프 및 펌프시스템 전문기업인 한국그런포스펌프㈜의 대리점으로서 주로 국내 1군 건설업체 시장에 고효율,고품질의 제품을 납품하며 인지도를 쌓아왔다. 현대건설과 현대산업개발에 매출 대비 60% 이상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주요 납품 프로젝트는 역삼동 스타타워,분당 서울대병원,용산 민자 역사,강남성모병원,삼성동 아이파크,목동 현대 하이페리온Ⅰ · Ⅱ,서초 슈퍼빌,잠실 시영 아파트,목동 현대 백화점등에 제품을 공급했다.
한국그런포스펌프㈜는 65년 역사의 글로벌 펌프 전문기업인 그런포스 펌프 그룹의 한국투자 현지법인으로,산업로봇 및 최첨단 자동화 생산시설을 바탕으로 400여 가지가 넘는 다양한 펌프 시스템 및 펌프 제품 등을 연간 1600만대 이상씩 생산하는 글로벌 'No.1' 기업이다. 특히 고효율,고품질의 제품을 전 세계 시장에 수출하고 있으며,㈜효일종합상사는 이 중 난방시스템,냉방시스템,각종 산업용 펌프,급수 가압 및 유체이송 펌프,가정용 급수 펌프 등을 선별해 국내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효일종합상사는 본사의 기술력에 의지하지 않고,최적의 제품 선정서비스,신속 정확한 자료 제공,납기,차별화된 기술력과 신속한 서비스로 고객 만족을 실현시키고 있으다. 최진구 대표는 "펌프는 제품 선정이 매우 중요하며,제품의 결함보다는 관리 부주의와 제품 선정 오류에 따른 하자 발생이 빈번한 장치"라며 "철저한 관리자 교육과 더불어 본사에 대한 지속적인 품질 개선 요구를 통해 이에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 대표는 "정부에서 강력히 추진 중인 에너지 절감과 저탄소 녹색 성장을 위해서는 가격이 다소 비싸더라도 정부 투자기관이나 대기업에서'에너지 이용합리화 법'에 따른 고효율,고품질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제도적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재섭 기자 shin@hankyung.com
㈜효일종합상사(대표 최진구)는 고효율 펌프 솔루션 유통으로 건설업계에 '녹색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강소 유통 기업이다.
1995년 설립된 이 회사는 펌프 및 펌프시스템 전문기업인 한국그런포스펌프㈜의 대리점으로서 주로 국내 1군 건설업체 시장에 고효율,고품질의 제품을 납품하며 인지도를 쌓아왔다. 현대건설과 현대산업개발에 매출 대비 60% 이상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주요 납품 프로젝트는 역삼동 스타타워,분당 서울대병원,용산 민자 역사,강남성모병원,삼성동 아이파크,목동 현대 하이페리온Ⅰ · Ⅱ,서초 슈퍼빌,잠실 시영 아파트,목동 현대 백화점등에 제품을 공급했다.
한국그런포스펌프㈜는 65년 역사의 글로벌 펌프 전문기업인 그런포스 펌프 그룹의 한국투자 현지법인으로,산업로봇 및 최첨단 자동화 생산시설을 바탕으로 400여 가지가 넘는 다양한 펌프 시스템 및 펌프 제품 등을 연간 1600만대 이상씩 생산하는 글로벌 'No.1' 기업이다. 특히 고효율,고품질의 제품을 전 세계 시장에 수출하고 있으며,㈜효일종합상사는 이 중 난방시스템,냉방시스템,각종 산업용 펌프,급수 가압 및 유체이송 펌프,가정용 급수 펌프 등을 선별해 국내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효일종합상사는 본사의 기술력에 의지하지 않고,최적의 제품 선정서비스,신속 정확한 자료 제공,납기,차별화된 기술력과 신속한 서비스로 고객 만족을 실현시키고 있으다. 최진구 대표는 "펌프는 제품 선정이 매우 중요하며,제품의 결함보다는 관리 부주의와 제품 선정 오류에 따른 하자 발생이 빈번한 장치"라며 "철저한 관리자 교육과 더불어 본사에 대한 지속적인 품질 개선 요구를 통해 이에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 대표는 "정부에서 강력히 추진 중인 에너지 절감과 저탄소 녹색 성장을 위해서는 가격이 다소 비싸더라도 정부 투자기관이나 대기업에서'에너지 이용합리화 법'에 따른 고효율,고품질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제도적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재섭 기자 sh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