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국채선물 활성화 방안] 10년짜리 국채선물 10월부터 현금결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거래 편의성 제고…시장조성도 강화
오는 10월부터 10년 국채선물 결제 방식이 현물결제에서 현금결제로 전환된다. 또 국고채전문딜러(PD)의 장기채 시장 조성 기능이 대폭 강화된다.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장기 국채선물시장 활성화 방안'을 26일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이르면 10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2008년 2월 장기국채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10년 국채선물을 도입했지만 거래가 거의 없을 정도로 부진하자 장기채 시장 활성화를 위해 이번 대책이 마련됐다. 현물시장에서 10년 이상 장기물은 발행잔액의 46%를 차지하고 있지만 거래량은 13%에 불과했고,선물시장에선 3년 선물에 거래가 100% 집중될 정도였다. 시장에선 장기금리 변동 위험에 대한 헤지 수단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지만 선진국과 달리 장 · 단기 선물시장의 불균형은 심화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10년 국채선물 결제 방식을 3년,5년짜리와 같이 현금결제로 전환키로 했다. 그동안 현물 결제 방식이 불편을 야기해 거래를 위축시켰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PD의 시장조성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PD가 제시하는 매도 · 매수 가격 간 갭을 지속적으로 축소,거래 체결 가능성을 확대한다. 10년 선물거래 실적을 PD 평가에 반영키로 하고,10년 국채선물 시장 조성자에게 선물거래 수수료 일부를 시장조성 대가로 지급키로 했다. 재정부는 시장조성 대가 지급으로 연간 20억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국채선물의 안정적 종가 형성을 위해 종가 단일가 거래제도를 유지하되 단일가 매매시간(오후 3시5~15분) 동안 예상 체결가를 공개,종가에 대한 예측 가능성과 투명성을 제고키로 했다. 다만 장 종료 1분 전에는 취소 · 정정을 불허해 예상 체결가 왜곡을 방지키로 했다.
기본적으로 장기채 현물시장 활성화를 위해 10년물 이상 장기물 발행 비중을 확대한다. 지난달부터 10년물 물가연동국고채 발행을 재개한 것도 포함된다.
금융위 관계자는 "선진국과 달리 3년물이 10년물의 15배 이상을 차지하는 등 비정상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어 대책이 절실했던 상황"이라며 "10년 국채선물이 활성화돼야 외국인과 연기금 등의 장기국채 매수가 더욱 확대되고 재정건전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게 된다"고 강조했다.
조진형 기자 u2@hankyung.com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장기 국채선물시장 활성화 방안'을 26일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이르면 10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2008년 2월 장기국채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10년 국채선물을 도입했지만 거래가 거의 없을 정도로 부진하자 장기채 시장 활성화를 위해 이번 대책이 마련됐다. 현물시장에서 10년 이상 장기물은 발행잔액의 46%를 차지하고 있지만 거래량은 13%에 불과했고,선물시장에선 3년 선물에 거래가 100% 집중될 정도였다. 시장에선 장기금리 변동 위험에 대한 헤지 수단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지만 선진국과 달리 장 · 단기 선물시장의 불균형은 심화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10년 국채선물 결제 방식을 3년,5년짜리와 같이 현금결제로 전환키로 했다. 그동안 현물 결제 방식이 불편을 야기해 거래를 위축시켰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PD의 시장조성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PD가 제시하는 매도 · 매수 가격 간 갭을 지속적으로 축소,거래 체결 가능성을 확대한다. 10년 선물거래 실적을 PD 평가에 반영키로 하고,10년 국채선물 시장 조성자에게 선물거래 수수료 일부를 시장조성 대가로 지급키로 했다. 재정부는 시장조성 대가 지급으로 연간 20억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국채선물의 안정적 종가 형성을 위해 종가 단일가 거래제도를 유지하되 단일가 매매시간(오후 3시5~15분) 동안 예상 체결가를 공개,종가에 대한 예측 가능성과 투명성을 제고키로 했다. 다만 장 종료 1분 전에는 취소 · 정정을 불허해 예상 체결가 왜곡을 방지키로 했다.
기본적으로 장기채 현물시장 활성화를 위해 10년물 이상 장기물 발행 비중을 확대한다. 지난달부터 10년물 물가연동국고채 발행을 재개한 것도 포함된다.
금융위 관계자는 "선진국과 달리 3년물이 10년물의 15배 이상을 차지하는 등 비정상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어 대책이 절실했던 상황"이라며 "10년 국채선물이 활성화돼야 외국인과 연기금 등의 장기국채 매수가 더욱 확대되고 재정건전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게 된다"고 강조했다.
조진형 기자 u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