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창 금융감독원장 "출구전략때 PF·가계대출 부실 대비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은 26일 "글로벌 경제위기 때 취해진 이례적 비상조치를 정상화하는 과정에서 파생되는 불안요인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원장은 이날 제주 롯데호텔에서 열린 '21세기 경영인클럽' 초청 강연에서 금리 상승과 가계 대출,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기업 구조조정을 정상화 과정의 잠재적 위험으로 꼽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가계 대출과 관련,"단기간 내 부실화될 가능성은 작지만 금리 인상과 주택가격 하락 시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채무 상환능력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며 "가계부채 리스크(위험) 관리를 강화하고 장기 · 고정금리 대출 비중 확대를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금리 상승에 대비해 취약계층 지원을 확대하고 회사채시장 활성화,선물환 포지션 규제 탄력 적용 등 금리 상승 속도 완화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부동산경기 침체로 부실화가 우려되는 저축은행 PF 대출의 조속한 정리를 유도하고 상시 감시시스템 구축 등 사후관리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주택담보대출,부동산 PF 문제는 과도한 외형경쟁에 따른 쏠림현상의 결과로 리스크 관리에 허점이 있었음을 시사한다"면서 "리스크 관리 강화는 가시적 성과가 단기간에 나타나지 않아 소홀히 할 유인이 있는 만큼 선진 금융회사 도약을 위한 필수적 투자라는 인식을 갖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금융회사 규모,리스크 수준 및 특성을 고려해 감독규제를 차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미시 규제 건전성을 개선하겠다"며 "조기경보 모형을 활용하고 대형 금융사에 대한 감독 · 검사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
김 원장은 이날 제주 롯데호텔에서 열린 '21세기 경영인클럽' 초청 강연에서 금리 상승과 가계 대출,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기업 구조조정을 정상화 과정의 잠재적 위험으로 꼽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가계 대출과 관련,"단기간 내 부실화될 가능성은 작지만 금리 인상과 주택가격 하락 시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채무 상환능력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며 "가계부채 리스크(위험) 관리를 강화하고 장기 · 고정금리 대출 비중 확대를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금리 상승에 대비해 취약계층 지원을 확대하고 회사채시장 활성화,선물환 포지션 규제 탄력 적용 등 금리 상승 속도 완화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부동산경기 침체로 부실화가 우려되는 저축은행 PF 대출의 조속한 정리를 유도하고 상시 감시시스템 구축 등 사후관리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주택담보대출,부동산 PF 문제는 과도한 외형경쟁에 따른 쏠림현상의 결과로 리스크 관리에 허점이 있었음을 시사한다"면서 "리스크 관리 강화는 가시적 성과가 단기간에 나타나지 않아 소홀히 할 유인이 있는 만큼 선진 금융회사 도약을 위한 필수적 투자라는 인식을 갖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금융회사 규모,리스크 수준 및 특성을 고려해 감독규제를 차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미시 규제 건전성을 개선하겠다"며 "조기경보 모형을 활용하고 대형 금융사에 대한 감독 · 검사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