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서울대 연구팀, 강철보다 강한 섬유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강철보다 강한 거미 실크 섬유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이상엽 KAIST 특훈교수팀과 박영환 서울대 교수 연구팀은 27일 초고분자량 거미 실크 단백질을 대사공학으로 개량된 대장균을 이용해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거미가 만드는 초고분자량 실크 섬유는 고강도 합성섬유인 '케블라'와 비슷한 강도를 갖고 있으며 탄성력이 뛰어나 의료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 우수한 특성 때문에 효모 곤충 동물세포 형질전환식물 등을 활용해 거미 실크를 생산하려는 시도가 많았다. 그러나 특정 아미노산이 반복적으로 많이 존재하는 특성 때문에 합성 과정이 쉽지 않았다.
공동 연구진은 비교단백체 분석 등 시스템 대사공학 기법을 이용해 거미실크 단백질을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이상엽 KAIST 특훈교수팀과 박영환 서울대 교수 연구팀은 27일 초고분자량 거미 실크 단백질을 대사공학으로 개량된 대장균을 이용해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거미가 만드는 초고분자량 실크 섬유는 고강도 합성섬유인 '케블라'와 비슷한 강도를 갖고 있으며 탄성력이 뛰어나 의료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 우수한 특성 때문에 효모 곤충 동물세포 형질전환식물 등을 활용해 거미 실크를 생산하려는 시도가 많았다. 그러나 특정 아미노산이 반복적으로 많이 존재하는 특성 때문에 합성 과정이 쉽지 않았다.
공동 연구진은 비교단백체 분석 등 시스템 대사공학 기법을 이용해 거미실크 단백질을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