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인 창조기업 육성법 제정에 거는 기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기청이 1인 창조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을 연내 제정하고 비즈니스센터 확충 등을 통해 2012년까지 3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주로 지식서비스 분야에서 아이디어와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이 창업하는 1인 창조기업이 청년실업의 새로운 돌파구(突破口)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외환위기 이후 벤처기업 육성이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었던 점을 떠올리면 1인 창조기업도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갖게 한다.
실제로 정부가 1인 창조기업 육성책을 내놓으면서 올 상반기에만 일자리가 1000개가량 창출된 것으로 나타난 만큼 일단 가능성은 확인된 셈이다. 앞으로 법과 제도가 개선되고 각종 인프라가 확충되면 일자리는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커보인다.
우리가 1인 창조기업에 주목하는 이유는 우선 청년들을 이 분야로 유도할 경우 심각한 청년실업 문제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1인 창조기업이 우리 사회에서 의미있는 기업형태로 착근할 수 있다면 창의적인 청년들의 이른바 취업 눈높이 문제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퇴직인력들에게도 그동안의 경험을 살린 1인 창업기업이 새로운 기회의 대안이 될 수 있다면 그 또한 바람직한 일이다.
기업경쟁력 측면에서도 1인 창조기업은 반드시 필요하다. 선진국 기업들이 아이디어와 기술이 풍부한 외부의 네트워크를 잘 활용해 경쟁력을 높이고 있는 것이 그 단적인 사례다. 최근 스마트폰 등장으로 정부는 모바일 분야에서 1인 창조기업을 많이 배출하기 위해 글로벌 앱지원센터 설치 등 지원책을 강화하겠다고 했지만 1인 창조기업의 가능성이 꼭 정보통신 분야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의료, 교육, 법률, 금융, 컨설팅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1인 창조기업들이 쏟아질 수 있다고 본다. 그런 점에서 1인 창조기업 육성법 제정은 빠를수록 좋다.
실제로 정부가 1인 창조기업 육성책을 내놓으면서 올 상반기에만 일자리가 1000개가량 창출된 것으로 나타난 만큼 일단 가능성은 확인된 셈이다. 앞으로 법과 제도가 개선되고 각종 인프라가 확충되면 일자리는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커보인다.
우리가 1인 창조기업에 주목하는 이유는 우선 청년들을 이 분야로 유도할 경우 심각한 청년실업 문제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1인 창조기업이 우리 사회에서 의미있는 기업형태로 착근할 수 있다면 창의적인 청년들의 이른바 취업 눈높이 문제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퇴직인력들에게도 그동안의 경험을 살린 1인 창업기업이 새로운 기회의 대안이 될 수 있다면 그 또한 바람직한 일이다.
기업경쟁력 측면에서도 1인 창조기업은 반드시 필요하다. 선진국 기업들이 아이디어와 기술이 풍부한 외부의 네트워크를 잘 활용해 경쟁력을 높이고 있는 것이 그 단적인 사례다. 최근 스마트폰 등장으로 정부는 모바일 분야에서 1인 창조기업을 많이 배출하기 위해 글로벌 앱지원센터 설치 등 지원책을 강화하겠다고 했지만 1인 창조기업의 가능성이 꼭 정보통신 분야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의료, 교육, 법률, 금융, 컨설팅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1인 창조기업들이 쏟아질 수 있다고 본다. 그런 점에서 1인 창조기업 육성법 제정은 빠를수록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