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낮을때 자금확보" 회사채 발행 급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업들 2주새 2조7000억 조달
대기업들이 회사채 발행과 비상장 계열사 기업공개(IPO)를 통해 선제적으로 자금 확보에 나서고 있다. 하반기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는 데다 지난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며 출구 전략에 본격 나서자 금리가 더 오르기 전에 장기 자금을 확보하려는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4일 우리투자증권 등 5개 증권사를 주관사로 5000억원의 회사채를 발행한다. 만기 5년짜리 장기채다. 포스코가 회사채로 자금을 조달하기는 작년 1월 이후 1년 반 만이다. 포스코는 회사채 발행으로 확보한 자금을 고로 개 · 보수와 광양 후판공장 준공 등 시설투자 및 운영자금으로 쓸 계획이다.
또 대한항공이 2일 3000억원,한진중공업이 3일 599억원의 회사채를 각각 발행한다. 만기가 도래한 회사채의 차환 발행 외에 시설 및 운영자금을 추가로 마련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에 따라 지난주 현대자동차(3000억원)를 포함,1조2300억원의 회사채가 발행된 데 이어 이번 주 발행 규모도 1조4551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주간 회사채 발행 금액이 2주 연속 1조원을 넘은 것은 지난 5월 이후 두 달 만이다. 채권시장 관계자는 "두산인프라코어 현대중공업 NHN 등도 8월 중 회사채 발행을 추진하고 있다"며 "대기업을 중심으로 자금 수요가 늘고 있어 회사채 발행이 한동안 증가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 들어 뜸했던 우량 대기업의 회사채 발행이 다시 활발해진 것은 갈수록 자금조달 비용이 커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한 대형 증권사 기업금융(IB) 담당 임원은 "한국은행이 예상보다 빨리 금리를 올려 하반기 시설투자 등 대규모 자금 집행을 앞두고 있는 기업들은 마음이 급한 상황"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대기업들의 IPO도 잇따를 전망이다. 삼성SDS와 실트론,두산엔진 등이 향후 1년 내 증시 상장이 예상되는 대표적인 기업으로 꼽힌다. 재계 관계자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움츠러든 금융시장이 활기를 되찾고 있어 지금이 직접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최적의 시기"라고 말했다.
강지연 기자 serew@hankyung.com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4일 우리투자증권 등 5개 증권사를 주관사로 5000억원의 회사채를 발행한다. 만기 5년짜리 장기채다. 포스코가 회사채로 자금을 조달하기는 작년 1월 이후 1년 반 만이다. 포스코는 회사채 발행으로 확보한 자금을 고로 개 · 보수와 광양 후판공장 준공 등 시설투자 및 운영자금으로 쓸 계획이다.
또 대한항공이 2일 3000억원,한진중공업이 3일 599억원의 회사채를 각각 발행한다. 만기가 도래한 회사채의 차환 발행 외에 시설 및 운영자금을 추가로 마련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에 따라 지난주 현대자동차(3000억원)를 포함,1조2300억원의 회사채가 발행된 데 이어 이번 주 발행 규모도 1조4551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주간 회사채 발행 금액이 2주 연속 1조원을 넘은 것은 지난 5월 이후 두 달 만이다. 채권시장 관계자는 "두산인프라코어 현대중공업 NHN 등도 8월 중 회사채 발행을 추진하고 있다"며 "대기업을 중심으로 자금 수요가 늘고 있어 회사채 발행이 한동안 증가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 들어 뜸했던 우량 대기업의 회사채 발행이 다시 활발해진 것은 갈수록 자금조달 비용이 커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한 대형 증권사 기업금융(IB) 담당 임원은 "한국은행이 예상보다 빨리 금리를 올려 하반기 시설투자 등 대규모 자금 집행을 앞두고 있는 기업들은 마음이 급한 상황"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대기업들의 IPO도 잇따를 전망이다. 삼성SDS와 실트론,두산엔진 등이 향후 1년 내 증시 상장이 예상되는 대표적인 기업으로 꼽힌다. 재계 관계자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움츠러든 금융시장이 활기를 되찾고 있어 지금이 직접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최적의 시기"라고 말했다.
강지연 기자 sere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