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우증권 - 외자계 증권사의 매도 리포트에 대한 편린 기업실적 효과는 이제 소멸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이번주에도 하반기 경기에 대한 우려를 키울 만한 매크로 지표들의 발표는 지속될 전망이다. 지난주 외국계 매도 의견을 받은 종목들의 하락세가 부각되고 있다. 시장 측면에서 투자의견 하향은 어닝의 단기 피크를 앞두고 종종 있었던 현상이다. 투자의견은 이익보다는 시장 흐름을 쫓는 성격이 더 강하다. 기업에 대한 투자의견이 주가를 결정하기 보다는, 주가가 이를 결정하는 셈이다. 결국 지난주 이슈는 기업이익을 맞출 것인지, 주가를 맞출 것인지의 문제다. 외자계 매도 리포트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는 없다. 체감지수가 많이 빠진 것처럼 느껴진다면 이는 포트폴리오가 특정 업종에 치우쳐 있기 때문이다. 내수업종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는 것이 좋다. ◇ 우리투자증권 - 중소형주 실적시즌, 대형주와는 다르다 컨센서스 대비 우수한 실적을 발표한 기업들 대부분이 글로벌 증시 전반의 부진 속에서도 2분기 양호한 주가상승을 나타내고 있다. 완화되고 있는 금융리스크와 전방산업의 대규모 투자확대에 따른 트리클다운 효과 등을 감안할 때, 중소형주에 대한 투자매력은 높다. 실적관련 정보의 비대칭성을 이용해 실적이 양호한 중소형주를 중심으로 길목지키기에 나서는 전략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경기선행지수가 이르면 3분기부터 상승세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되고 그 중심에 민간투자가 자리잡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특히, LED, 태양광, 전기차, 4G 통신 등 신성장 산업에 대한 투자는 경기 사이클과 무관하게 장기적인 관점에서 진행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 삼성증권 - 주식시장도 휴가 갑니다 미국이나 우리나라 모두 굵직한 기업들이 거의 2분기 실적 발표를 마쳤기 때문에 이번 주는 추가적으로 주가 상승의 동력을 찾기 어렵다. 재고 출하 사이클로 보면 우리 경제는 이미 회복 국면에서 확장 국면으로 넘어간 상태다. 향후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가 형성되고 있다. 미국 고용지표 발표를 앞두고 관망심리가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 미국과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가 크게 악화되지만 않는다면 상승추세는 유지될 전망이다. 여유를 갖고 3분기 실적호전주를 챙겨보는 것도 괜찮겠다. 운송, 음식료, 은행, 유틸리티 등이 후보 업종이다. ◇ 하나대투증권 - Nifty Fifty와 7공주 Nifty Fifty Stock과 현재 한국의 7공주 주식을 비교해 본 결과,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7공주가 고평가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올해 이후 7공주의 이익전망치가 정체되고, Nifty Fifty의 사례를 보면 7공주 내에서도 주가차별화는 불가피하다는 점은 고려해야 한다. 어닝모멘텀이 일단락되면서 다시 경기논쟁 국면으로 진입하는 상황인데 한국증시의 outperform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기논쟁을 피하고 싶다면 안정적 이익성장과 밸류에이션이 뒷받침되는 안정형 소비재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채주연기자 jychae@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