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소재강국 뒷받침할 연구기관 개편 필요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식경제부는 어제 세계 4대 소재강국 진입을 목표로 '세계시장 선점 10대 핵심소재(WPM)' 사업을 주관하거나 참여할 10개 컨소시엄을 사실상 선정했다. 대학 및 연구소 등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줄어든 대신 중소 · 중견기업의 참여가 확대됐고, 특히 바이오메디컬, LED 사파이어 등 일부 컨소시엄의 경우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이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점이 특징이다. 정부는 녹색성장과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이번 핵심소재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새로운 시장창출과 함께 중소기업 육성, 고용창출 등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품 · 소재산업, 그 중에서도 소재분야 경쟁력이 특히 취약한 것이 우리 산업의 약점이고 보면 정부가 핵심소재 기술개발에 전략적으로 나서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또 이번 컨소시엄에 참여한 중소 · 중견기업이 전체 참여기관 중 45%를 넘는 100여개에 이른다는 것도 과거와 다른 점이다. 최근 대 · 중소기업 간 상생이 강조되고 있지만 연구개발단계에서부터 이런 협력이 이뤄져야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그러한 상생의 파트너십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그만큼 커질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핵심소재 기술개발을 기업이 주도하는 형태로 끌고 갈 경우 예상되는 문제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당장의 성과만 따지다 보면 멀리 내다보거나 실패를 무릅쓴 과감한 도전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지경부는 연구개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대학 및 연구소의 역할을 조정했다고 하지만 소재분야는 그 특성상 단기 성과 위주로 흐를 경우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결과는 그만큼 기대하기 어렵다.
그런 점에서 정부는 어떻게 하면 기업 외부의 연구자원을 최대한 활용할지 고민해야 한다. 특히 정부출연연구소의 경우 소재관련 연구자원이 이리저리 분산돼 있는 만큼 구조개편을 해서라도 국가차원에서 자원을 집중해 소재개발을 전략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제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만하다. 이를 통해 대학의 연구능력도 결집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미 · 일 등 선진국에서처럼 장기적이고 일관된 연구투자를 통해 그 성과가 기업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게 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부품 · 소재산업, 그 중에서도 소재분야 경쟁력이 특히 취약한 것이 우리 산업의 약점이고 보면 정부가 핵심소재 기술개발에 전략적으로 나서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또 이번 컨소시엄에 참여한 중소 · 중견기업이 전체 참여기관 중 45%를 넘는 100여개에 이른다는 것도 과거와 다른 점이다. 최근 대 · 중소기업 간 상생이 강조되고 있지만 연구개발단계에서부터 이런 협력이 이뤄져야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그러한 상생의 파트너십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그만큼 커질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핵심소재 기술개발을 기업이 주도하는 형태로 끌고 갈 경우 예상되는 문제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당장의 성과만 따지다 보면 멀리 내다보거나 실패를 무릅쓴 과감한 도전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지경부는 연구개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대학 및 연구소의 역할을 조정했다고 하지만 소재분야는 그 특성상 단기 성과 위주로 흐를 경우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결과는 그만큼 기대하기 어렵다.
그런 점에서 정부는 어떻게 하면 기업 외부의 연구자원을 최대한 활용할지 고민해야 한다. 특히 정부출연연구소의 경우 소재관련 연구자원이 이리저리 분산돼 있는 만큼 구조개편을 해서라도 국가차원에서 자원을 집중해 소재개발을 전략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체제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만하다. 이를 통해 대학의 연구능력도 결집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미 · 일 등 선진국에서처럼 장기적이고 일관된 연구투자를 통해 그 성과가 기업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게 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