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총재, 잇단 'IMF 때리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위기 대처에 한계" 지적
G20 금융안전망 필요성 역설
G20 금융안전망 필요성 역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사진)가 잇따라 국제통화기금(IMF)을 때리고 있다.
김 총재는 3일 도쿄에서 일본은행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한국에서 외환위기는 'IMF 위기'로 불리기도 한다"며 "이는 IMF가 위기 해결에 큰 역할을 했다는 의미와 함께 IMF에 대한 한국인의 씁쓸한 정서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초고금리 등 IMF가 권고한 정책은 개별 국가의 특징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조치였으며 그 정도가 지나쳤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총재는 이에 앞서 지난달 31일 제주에서 열린 '최고경영자(CEO) 하계 포럼'에서도 "외환위기 당시 한국의 유동성 부족 문제에 대해 IMF가 과잉 대응했다"고 비판했다. 같은 날 대전에서 열린 '아시아 콘퍼런스'에서도 IMF의 외환위기 처방에 대해 "과잉대응이 문제였다"고 꼬집었다.
김 총재가 IMF의 잘못을 최근 집중 거론하는 이유는 한국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의제로 추진하는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되고 있다. 김 총재는 이날 일본은행 강연에서 "만약 외환위기 당시 국제 금융안전망이 갖춰져 있었다면 위기에 따른 고통이 훨씬 덜했을 것이라는 추정을 가능케 한다"고 말했다. 외국인 자금이 신흥국에서 급격히 빠져나가면서 금융시장이 휘청대는 것을 예방하는 국제 금융안전망이 마련돼야 한국이 겪었던 것과 같은 혹독한 시련을 줄일 수 있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IMF 지배구조 개혁 등의 이슈에서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확보하기 위해 김 총재가 IMF를 압박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김 총재는 이날 저우 샤오촨 중국인민은행 총재,시라카와 마사키 일본은행 총재 등과 한 · 중 · 일 중앙은행 총재 정례회의를 갖고 금융안정 및 역내 협력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
김 총재는 3일 도쿄에서 일본은행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한국에서 외환위기는 'IMF 위기'로 불리기도 한다"며 "이는 IMF가 위기 해결에 큰 역할을 했다는 의미와 함께 IMF에 대한 한국인의 씁쓸한 정서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초고금리 등 IMF가 권고한 정책은 개별 국가의 특징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조치였으며 그 정도가 지나쳤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총재는 이에 앞서 지난달 31일 제주에서 열린 '최고경영자(CEO) 하계 포럼'에서도 "외환위기 당시 한국의 유동성 부족 문제에 대해 IMF가 과잉 대응했다"고 비판했다. 같은 날 대전에서 열린 '아시아 콘퍼런스'에서도 IMF의 외환위기 처방에 대해 "과잉대응이 문제였다"고 꼬집었다.
김 총재가 IMF의 잘못을 최근 집중 거론하는 이유는 한국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의제로 추진하는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되고 있다. 김 총재는 이날 일본은행 강연에서 "만약 외환위기 당시 국제 금융안전망이 갖춰져 있었다면 위기에 따른 고통이 훨씬 덜했을 것이라는 추정을 가능케 한다"고 말했다. 외국인 자금이 신흥국에서 급격히 빠져나가면서 금융시장이 휘청대는 것을 예방하는 국제 금융안전망이 마련돼야 한국이 겪었던 것과 같은 혹독한 시련을 줄일 수 있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IMF 지배구조 개혁 등의 이슈에서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확보하기 위해 김 총재가 IMF를 압박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김 총재는 이날 저우 샤오촨 중국인민은행 총재,시라카와 마사키 일본은행 총재 등과 한 · 중 · 일 중앙은행 총재 정례회의를 갖고 금융안정 및 역내 협력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