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미국 노조지도자들과 만나 한 · 미자유무역협정(FTA) 비준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백악관은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시간으로 5일 밤 12시5분 전미 노동총연맹산업별조합회의(AFL-CIO) 지도자들과 회동, 경제정책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고 지난 3일 밝혔다. 그가 11월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 전까지 한 · 미FTA 쟁점을 해소, 이르면 연말이나 내년 초 비준안을 의회에 제출할 것이라고 지난 6월 말 약속한 뒤 노조와 갖는 첫 회동이다.

로버트 기브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을 통해 '한국을 포함한 국가들과 FTA가 미 근로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노동규정을 두도록 노조지도자들에게 보장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오바마 대통령은 무역이 미국인 모두에게 이득을 주는 규정을 담아야 한다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기브스 대변인은 이어 "그 때문에 오바마 대통령이 가을 한국을 방문하기 전에 (미국의) 자동차와 쇠고기 산업이 납득할 수 있는 협정을 제시할 것이며,기존 FTA를 단순히 (의회에) 전달하지 않을 것을 약속했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의 통상전문지인 '인사이드 트레이드 월드'는 전미 자동차노조(UAW)가 지난달 29일 미 상원과 하원에 한 · 미FTA가 공정성과 형평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는 서한을 보냈다고 지난 3일 보도했다.

UAW는 서한에서 미국이 대부분의 승용차 및 부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없애고 경트럭에 대해서는 25%의 관세를 단계적으로 철폐키로 한 한 · 미FTA 조항이 그대로 시행되면 한국산 자동차의 미국시장 유입이 급증하면서 미 자동차산업의 생존을 위협하고 고용을 잠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UAW는 따라서 미 자동차업계가 금융위기와 경기침체의 후유증에서 완전히 회복할 때까지 관세인하 조항의 시행을 연기할 것을 주장했다. 또 양국 간 자동차 무역 불균형이 축소되는 가시적인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관세인하 조항을 연계해 시행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