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그룹, 금융·산업지주 분리설립 전망"-한국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투자증권은 9일 동부그룹이 금융지주와 산업지주를 분리해 설립할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훈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동부CNI와 동부정밀의 합병을 통해 동부그룹의 지주회사 전환이 본격화될 전망"이라며 "그룹 주요 자회사에 대한 안정적인 지분율과 대주주의 지주사 예상 회사에 대한 지분율 등을 고려하면 지주사 전환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동부CNI와 동부정밀 합병법인의 동부제철과 동부건설 등 주요 자회사에 대한 지분율은 각각 13%와 11%다. 이후 대주주일가가 보유한 이들 회사에 대한 지분이 합병법인으로 현물출자가 이루어질 경우 지분율은 31%와 32%로 증가해 지주회사의 자회사 지분율 요건인 20% 충족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는 것.
대주주일가는 산업 지주회사의중심이 될 동부 CNI와 동부정밀의 합병 법인에 대한 지분율이 44%이고, 현물출자시 지분율은 62%로 증가한다. 따라서 다른 지주회사 전환과정처럼 합병법인의 지주·영업회사 분리 후 주식교환이 없더라도 지주회사에 대한 안정적인 경영권 확보에 무리가 없다는 주장이다.
그는 "지주사 전환시 시장의 가장 큰 관심은 동부화재 등 금융계열사 처리 문제"라며 "별도의 금융지주회사를 설립하는 시나리오 외에도 현재 국회 계류 중인 금산분리완화 내용이 담긴 공거거래법이 통과될 경우 동부CNI와 동부정밀 합병법인 자회사로 금융지주회사를 설립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법안통과 여부와 상관없이 동부화재를 중심으로 한 금융지주와 동부CNI,동부정밀 합병법인을 통한 산업지주가 별도로 설립될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이라고 강조했다.
대주주들은 현재 동부화재 지분율이 26%에 이르러, 지주·영업으로의 분리 후 주식교환을 가정할 경우 금융지주에 대한 안정적인 지분율 확보가 가능하다는 것.
특히 동부그룹에서 산업회사보다 금융회사들이 수익성 및 시장위상 등에서 앞서 있는 점을 고려할 경우 산업지주회사 밑에 금융회사를 두기보다는 별도 금융지주회사 설립이 효율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bky@
이훈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동부CNI와 동부정밀의 합병을 통해 동부그룹의 지주회사 전환이 본격화될 전망"이라며 "그룹 주요 자회사에 대한 안정적인 지분율과 대주주의 지주사 예상 회사에 대한 지분율 등을 고려하면 지주사 전환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동부CNI와 동부정밀 합병법인의 동부제철과 동부건설 등 주요 자회사에 대한 지분율은 각각 13%와 11%다. 이후 대주주일가가 보유한 이들 회사에 대한 지분이 합병법인으로 현물출자가 이루어질 경우 지분율은 31%와 32%로 증가해 지주회사의 자회사 지분율 요건인 20% 충족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는 것.
대주주일가는 산업 지주회사의중심이 될 동부 CNI와 동부정밀의 합병 법인에 대한 지분율이 44%이고, 현물출자시 지분율은 62%로 증가한다. 따라서 다른 지주회사 전환과정처럼 합병법인의 지주·영업회사 분리 후 주식교환이 없더라도 지주회사에 대한 안정적인 경영권 확보에 무리가 없다는 주장이다.
그는 "지주사 전환시 시장의 가장 큰 관심은 동부화재 등 금융계열사 처리 문제"라며 "별도의 금융지주회사를 설립하는 시나리오 외에도 현재 국회 계류 중인 금산분리완화 내용이 담긴 공거거래법이 통과될 경우 동부CNI와 동부정밀 합병법인 자회사로 금융지주회사를 설립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법안통과 여부와 상관없이 동부화재를 중심으로 한 금융지주와 동부CNI,동부정밀 합병법인을 통한 산업지주가 별도로 설립될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이라고 강조했다.
대주주들은 현재 동부화재 지분율이 26%에 이르러, 지주·영업으로의 분리 후 주식교환을 가정할 경우 금융지주에 대한 안정적인 지분율 확보가 가능하다는 것.
특히 동부그룹에서 산업회사보다 금융회사들이 수익성 및 시장위상 등에서 앞서 있는 점을 고려할 경우 산업지주회사 밑에 금융회사를 두기보다는 별도 금융지주회사 설립이 효율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bk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