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각국이 올 들어 재정적자와 높은 실업률로 고통받고 있지만 노르웨이에는 딴 나라 얘기다. 금융위기 여파에도 끄떡없이 경제가 호황을 누리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경제주간지 비즈니스위크는 최신호에서 "비(非)유럽연합(EU) 국가인 노르웨이는 막대한 재정흑자와 낮은 실업률을 기록하는 등 유럽 국가들과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실업률 3.7%,재정흑자 9.6%

EU의 지난 6월 평균 실업률은 9.6%다. 노르웨이의 실업률은 그 절반을 밑도는 3.7%에 불과하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노르웨이 총리는 지난해 9월 연임에 성공하면서 모든 국민의 '완전 고용'을 모토로 내걸기도 했다. 노르웨이에서 가장 한가한 곳은 취업을 알선하는 국가고용센터라는 우스갯소리도 나온다.

비즈니스위크는 이 같은 낮은 실업률이 지난 금융위기 때 국내총생산(GDP)의 4.7%에 이르는 자금을 시중에 유통시켰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에 힘입은 결과라고 설명했다.

세계 5위의 석유 수출국인 노르웨이는 수십 년간 석유 수출로 벌어들인 돈으로 4500억달러 규모의 국부펀드를 조성해왔다. 금융위기가 닥치자 정부는 이 펀드 자금으로 고속도로,철도 등의 사회기반시설을 확충하고 노인복지 부문의 고용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등 일자리를 창출했다.

막대한 경기부양책을 펼쳤지만 국가재정은 여전히 끄떡없다. 지난해 노르웨이는 GDP 대비 9.6%의 재정흑자를 올렸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노르웨이의 재정수지도 GDP 대비 10.8%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럽 국가들 중 재정흑자가 예상되는 국가는 노르웨이 단 한 곳뿐이다.


◆과거 위기에서 교훈을 얻다

노르웨이뿐 아니라 스웨덴,핀란드 등 북유럽 스칸디나비아 국가들 모두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재정건전성이 높고 실업률도 낮은 편이다. 이는 1990년대 미리 경험했던 금융위기에서 얻은 교훈이라는 분석이다. 1990년대 초 북유럽 국가들은 금융자유화와 자산 거품에 따른 후유증으로 금융위기를 겪었다. 이때 이들 국가는 과감한 공기업 민영화와 조세수입 확대 등의 개혁을 통해 국가채무 및 재정적자 증가를 미리 막을 수 있었다.

특히 노르웨이는 석유 수출로 벌어들인 풍부한 자금을 효과적으로 활용,금융위기에서 더욱 자유로울 수 있었다.

일각에선 경기과열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지난해 물가상승률은 정부 목표치인 2%를 조금 웃돈 2.3%를 나타냈다. 이에 노르웨이 중앙은행은 금융위기 발발 후 유럽 국가들 중에선 최초로 지난해 10월 기준금리를 올렸다. 이후에도 세 차례 인상을 거듭해 현재 2%지만 추가 인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