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가 좋아져 고용사정이 개선되면 일할 의욕이 넘치는 청년층 취업이 가장 빨리 늘어나게 마련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정반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전체 취업자 수는 큰 폭으로 늘고 있으나 20대 청년층 취업자 수는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고용시장의 이 같은 미스터리는 저출산 · 고령화로 인한 급속한 인구 구조 변화가 빚어낸 현상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청년층 인구 감소가 원인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7월 고용 동향'을 보면 20대 취업자 수는 1년 전에 비해 6만7000명 감소했다. 젊은 사람들의 일자리가 그만큼 줄었다고 해석하기 십상이다.

하지만 실제 사정은 딴판이다. 20대 인구가 1년 전에 비해 12만5000명 줄어든 것을 감안하면 '6만7000명 취업자 감소'는 양호한 성과로 볼 수 있다.

20대 고용률(인구 대비 취업자 비율)은 지난달 41.9%로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 높아졌다. 통계청 관계자는 "인구가 감소하면서 나타난 현상일 뿐 청년층 고용 상황만 특별히 나빠진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50대 취업자가 1년 전에 비해 31만4000명 늘어난 것 역시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영향이 컸다. 50대 인구는 1년 전에 비해 35만7000명 늘어 전 연령대 중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20대 인구는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반면 50대 인구는 베이비붐 세대가 편입돼 꾸준히 늘고 있다"며 "연령대별 인구 증감은 취업자 구조 변화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말했다.

◆일자리 미스매치 등의 요인도 배제 못해

20대 취업자 감소의 두 번째 요인은 '일자리 미스매치' 때문이다. 손민중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은 "대졸자들의 눈높이가 달라 중소기업 취직을 꺼리면서 나타나는 고용의 수급 불일치 문제는 청년층의 높은 실업률을 유발하는 가장 심각한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다음으로 대학 교육과 현장 간 괴리도 청년층 취업 부진의 이유로 지적됐다. 대한상공회의소 관계자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대학이 양성하지 못하면서 대졸자들의 경쟁력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며 "이 때문에 기업들이 재교육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신입 채용보다는 경력직 채용을 선호하는 현상이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자리는 47만개 증가

지난달 취업자는 2430만1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에 비해 47만3000명 증가했다. 취업자 증가폭은 지난 1월 5000명에 이어 2월 12만5000명,3월 26만7000명,4월 40만1000명,5월 58만6000명,6월 31만4000명이었다.

특히 민간 부문 취업자가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정부의 희망근로사업이 6월 종료되면서 공공 일자리가 18만5000명 감소했으나 제조업 등 민간 부문에서는 65만8000명 늘었다. 민간 부문 취업자 증가폭은 2002년 4월 이후 8년여 만의 최대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가 23만8000명 늘어 2000년 8월 이후 10년 만에 가장 많이 증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민간이 주도하는 경기 회복세가 완연해졌다는 방증"으로 해석했다.

덕분에 지난달 실업률은 3.7%로 4개월 연속 3%대의 안정세를 유지했다. 하지만 연령대별로는 편차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청년 실업률은 8.5%로 6월보다 0.2%포인트 올라갔다. 통계청은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지만 실업률 뒤에 숨겨진 이면을 감안하면 결코 낮은 것이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손 연구위원은 "한국은 직장을 구하지 못한 청년층 상당수가 구직 단념 등으로 비경제활동인구로 편입돼 겉으로 나타난 실업률이 선진국보다 낮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