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 “오는 11월 열리는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는 글로벌 금융안전망 등 한국의 제안 뿐만 아니라 국제통화기금(IMF) 개혁 등까지 모두 아울러 구체적인 성과를 내는 자리가 돼야 합니다.”

이창용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 기획조정단장은 11일 한국경제학회와 한미경제학회,한국제도학회 등이 공동으로 중앙대에서 개최한 국제학술대회의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그는 “한국 내에서는 금융안전망 등 ‘코리아 이니셔티브’의 성취에 더 주목하는 경향이 있지만 해외언론 등의 입장은 다르다”며 “서울 정상회의가 성공으로 인정받으려면 금융규제 등 다른 이슈들에서도 고루 성과를 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이런 성과를 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낙관도 비관도 하기 어렵다”는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했다.하나하나의 이슈에 대해 각국 간 의견 대립이 심하기 때문이다.“금융규제에 대해선 영미자본주의·대륙자본주의가 다투고 있으며,성장의 프레임워크나 IMF 개혁도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입장이 다르다”는 것.이 단장은 이에 따라 “한국이 중간에서 ‘외교관’의 역할을 하려 노력하지만 작은 나라가 큰 나라들 사이의 의견을 조율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고 어려움을 전했다.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도국들에게 G20 회의는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개도국에 대해 주요8개국(G8)은 국제 원조를 통한 개발을,국제연합(UN)은 빈곤타파를 주장하는 반면 G20는 이들의 경제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이 단장은 “특히 G20는 한국의 개발경험을 아시아·아프리카의 다른 나라들과 나누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다만 이것이 ‘한국의 방식을 전파하자’고 해석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각국이 직접 짜는 국내 정책과 국민들의 의지가 외부의 원조나 도움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이 우리의 입장”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