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시가 연일 약세를 보이고 있다.

11일 코스피 지수는 장중 1760대까지 주저앉았다. 전날만 하더라도 1794.55까지 오르는 등 1800에 대한 희망이 있었지만 이날은 장초반부터 힘없는 모습이다.

투신권을 중심으로 기관의 매물은 이날도 터져나오고 있다. 외국인도 오전에 순매도 중이다.전날과 같이 매수우위로 돌아선다고 하더라도 대규모 '사자'세는 기대하기 어려워 보인다. 원·달러 환율까지 상승하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환경이 불안해지고 있는 탓이다.

그럼에도 개인들은 '상승'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개인투자자들이 18거래일째 순매수 행진을 보이고 있다. 유가증권 시장에서도 개인들은 이틀째 지수 하락을 방어하고 있다.

전문가들 역시도 대세 상승에 무게를 두고 있다.물론 당초의 예상과는 다소 빗나간 장세이긴 하다. 당초 시장에서는 실적 모멘텀(상승요인)도 끝나고 유동성 장세를 기대했다. 그렇지만 유동성은 엉뚱하게도(?) 원자재로 흘러 들어갔다. 국제유가와 각종 농산물 가격은 이상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증시 안팎에서는 '유동성'이나 '미국' 보다는 '중국'쪽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은 미국이나 글로벌 경제와는 다른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 국가다. 앞서 위안화 강세로 국내 증시가 수혜를 받은 적이 있는 등 중국은 또 하나의 모멘텀으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의 부진한 지표들…긴축정책 완화 기대할만"

중국 상하이 증시는 전날 2.89% 급락했다.수입증가율이 22.7%에 그치며 시장 예상치인 30%를 큰 폭 밑돌았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중국의 수요가 둔화되고 있다고 해석됐다. 장중 반등을 시도하던 국내 증시도 이 때문에 약세로 장을 마쳤다.

하지만 전지원 키움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7월 수입증가율 둔화는 기저효과가 작용하고 있다"며 중국에 수요위축에 대한 우려는 기우일 뿐이라고 분석했다. 7월 수입증가율은 전월 34.6%에서 23.2%로 하락했지만, 수입규모는 11678억 달러로 전월대비 0.5%로 감소하며 여전히 사상최고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전 연구원은 "중국 내 정보기술(IT)과 자동차의 판매현황을 살펴보면, 주요 품목들의 전년대비 증가율은 둔화되고 있지만 판매량 자체는 증가하고 있다"며 "7월 수입증가율에 대한 착시효과로 인해 중국의 수요 및 내수경기 확장이 일단락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은 성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날도 중국은 산업생산, 소매판매, 고정자산투자, 소비자 물가지수, 생산자 물가지수 등을 발표한다. 중국 상하이 지수는 오전 10시50분 현재 강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한범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중국의 7월 소매판매는 전년동월비 18.5% 증가하고 과잉 투자산업에 대한 구조조정 속에서도 산업생산은 13% 수준으로 개선된다고 내다봤다.

한 연구원은 "중국 경기가 연착륙할 것"이라며 "중국에서 최근 발표되는 지표들은 연초 이후 중국 정부가 추진했던 안정적, 균형 성장이라는 대전제를 벗어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더불어 자산시장이 버블우려가 완화되면, 추가적인 내수부양책도 기대할 만하다고 덧붙였다.

◆중국發 모멘텀·위안화 절상 기대…국내 증시에 '긍정적'

또한 중국 증시를 압박했던 '긴축' 우려도 완화될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미 중국 증시는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에도 긴축정책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보여왔다.

김동하 교보증권 연구원은 "중국이 추가적인 긴축정책에 나설 가능성은 낮다"며 "중국의 주택가격 상승률이 10.3%를 기록하는 등 3개월째 하락하고 있어 긴축효과가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중국 증시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국내 증시도 동반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고 덧붙였다. 김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중국발 모멘텀으로 글로벌 증시 대비 충격이 완화될 것"이라며 "중국 관련업종인 철강금속과 기계업종에 관심을 기울이라"고 조언했다.

곽중보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미국은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중국의 무역 흑자 확대를 달가워할 리 없다"며 "결국 위안화 평가 절상 압력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위안화 절상은 자연스럽게 중국 구매력 확대로 연결되며 과거 중국 소비확대 수혜주로 거론되던 종목들이 다시 주목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경닷컴 김하나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