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 성장의 유지.' 중국정부가 올초부터 일관되게 경제정책의 근간으로 내세워온 말이다. 1분기 11.9%의 성장률을 기록했을 때는 안정 쪽에 무게를 실으며 은행의 지급준비율을 세 차례나 인상했다. 그러나 2분기 성장률이 10.3%로 떨어졌고,3분기엔 9% 초반에 머무를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등 경기 둔화 조짐이 완연해지자 분위기가 달라졌다. 은행간교역협회는 보고서를 통해 "경기 둔화 속도가 빨라질 경우 향후 2개월 내 은행의 지급준비율을 인하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중국의 지난달 경제지표는 이처럼 달라진 상황을 보여준다. 7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13.4%로 전월보다 0.3%포인트 하락했다. 7월의 소매증가율은 전월보다 0.4%포인트 줄어든 17.9%에 그쳤다. 같은 기간 수출증가율은 전월보다 5.8%포인트 줄어들었고,수입증가율은 11.4%포인트 감소한 22.7%에 머물렀다.

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월보다 0.4%포인트 높은 3.3%로 올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물가가 예상범위를 벗어나고 있지만 '자연재해에 따른 농작물 공급 부족으로 발생한 일시적 현상'이란 게 중국정부의 시각이다. 중국경제일보는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가 전달에 비해 1.6%포인트 하락했다는 점에서 농산물 가격만 제자리를 찾으면 두세 달 후에는 물가가 하락할 가능이 있다고 보도했다.

양평섭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베이징사무소장은 "중국정부가 물가보다 경기 둔화 속도에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며 "당장 금리를 올릴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다만 물가가 계속 오른다면 위안화의 절상 속도가 빨라질 가능성은 있다고 지적했다. 경기의 연착륙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며 출구전략의 시행시기와 방식에 집중하고 있다는 얘기다. 최대 뇌관인 부동산시장의 안정을 위해 탄력적인 금융정책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지난달 중국 은행의 신규대출금은 5328억위안으로 전월(6034억위안)보다 비교적 큰 폭으로 줄었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