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 몰락이 소득 격차 확대와 겹치면 경제성장과 사회통합은 더욱 멀어진다. 어제 통계청이 발표한 2분기 가계동향 조사에선 소득 격차를 나타내는 5분위 배율(상위 20%의 소득을 하위 20%의 소득으로 나눈 배율)이 4.94로 작년 같은 기간의 5.14보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격차가 완화되는 듯한 조짐을 보인 셈이다. 그러나 하위 20% 계층의 소득이 늘어난 것은 희망근로 프로젝트 등 일시적인 재정지출에 힘입었을 뿐이다. 앞으로 지속되기 어렵다는 얘기다.
정부가 최근 들어 친(親)서민정책에 올인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그 핵심은 중산층 복원이어야 한다. 단순히 저소득층에 무차별적으로 자금을 지원하거나 대기업 두들기기로 될 일이 아니다. 무엇보다 스스로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늘어날 수 있도록 양질의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내야 한다. 그리고 중산층의 생활을 가장 힘들게 하는 주거비와 교육비를 줄여 나가는 데 전력을 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