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의 이란제재에 한국이 동참할 경우 예상되는 양국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상득 특사' 카드가 또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상득 의원은 최근 이명박 대통령의 형이라는 점과 정치연륜을 강점으로 내세워 '글로벌 특사'의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간 나오토 일본 총리가 지난 10일 발표한 한일병합 100년 담화에서 식민지 지배의 강제성을 시인하는 등 진일보한 담화를 발표한 데는 이 의원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아사히신문은 "이 의원이 지난 7월 말 방한했던 일 · 한의원연맹 와타나베 고조 회장에게 '전향적인 총리담화가 나올 경우 동생(이 대통령)이 역사 인식문제에 종지부를 찍을 생각이 있다'는 뜻을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국정원의 첩보활동 문제로 갈등을 겪었던 리비아에서 대우건설이 공사를 수주한 배경에도 이 의원의 역할이 컸다는 후문이다. 대우건설이 수주한 '즈위티나 복합화력발전소' 건설공사는 계약이 올해 초 예정돼 있었지만 계약조건 등에 관한 문제로 지연되고 있었다. 여기에 한국 외교관 추방사태까지 겹치면서 회사 내부에서는 사실상 수주를 포기한 분위기였다. 하지만 이 의원이 대통령 특사자격으로 리비아를 방문하면서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기 시작했다. 이 의원은 리비아 총리를 세 차례 만나 해법을 찾았다.

이 의원의 활약에는 이슬람 국가의 특수한 사회 시스템이 한몫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정치권 관계자는 "이슬람 국가는 대부분 왕족국가가 많고 몇몇 힘있는 가문이 사회 · 정치 · 경제 분야를 장악하고 있어 형제경영이나 정치가 보편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이런 맥락에서 대통령의 형인 이 의원이 특사로 가면 해당 국가가 대통령이 직접 방문한 것 처럼 관심을 갖게 돼 일이 수월하게 풀린 것"이라고 말했다.

구동회 기자 kugi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