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불국사 대웅전 후불벽에서 18세기에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관음보살도 2점이 새로 발견됐다.

문화재청은 19일 성보문화재연구원(원장 범하스님)을 통해 '사찰 건축물 벽화 조사사업'을 하면서 불국사를 조사하다 대웅전 후불벽에서 후대에 덧칠한 호분(胡粉)에 가려져 있는 관음보살도를 새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올해 초 성보문화재연구원이 예비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보살도의 존재를 확인한 후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적외선 촬영과 안료분석 등 과학적 조사 · 분석을 통해 도상을 분명하게 판독하게 됐다는 것이다.

적외선 촬영 결과 오른쪽에는 흰옷을 입은 관음보살을 그린 백의관음보살도(白衣觀音菩薩圖),왼쪽에는 물고기를 담은 바구니를 든 관음보살을 묘사한 어람관음보살도(魚籃觀音菩薩圖)를 그린 것으로 드러났다. 그림의 크기는 둘 다 세로 4.3m,가로 1.8m 안팎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도상의 특징으로 볼 때 이들 그림은 18세기에 그린 불화로 보인다"며 "물고기 바구니를 든 어람관음보살도는 양산 신흥사 벽화(17세기)가 있기는 하지만 18세기 벽화로는 유일하다"고 설명했다.

기록에 의하면 불국사 대웅전은 1765년에 중창됐으며 1767년 4~6월에 벽화를 그렸다. 따라서 이번에 발견된 보살도는 이때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정밀조사 결과는 올해 말 발간 예정인 '한국의 사찰벽화(경북 남부편)'보고서에 수록될 예정이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