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란 '核 줄다리기'] "이란제재 반대"…'美 우방' 터키의 줄타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글로벌 워치
고성장으로 글로벌 위상 '쑥쑥'…서방-중동 중재자 역할 자임
"이란과 자원외교 관계 강화"
고성장으로 글로벌 위상 '쑥쑥'…서방-중동 중재자 역할 자임
"이란과 자원외교 관계 강화"
미국 정부가 한국을 비롯한 우방국들에 이란 제재 동참을 강력히 압박하는 가운데 그동안 '미국의 2중대'로도 불렸던 터키가 예상치 못한 새로운 변수로 등장했다. 터키는 지난 6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대(對)이란 제재안을 표결했을 때 반대표를 던졌다. 그보다 한 달 전엔 이란이 3.5% 농도의 농축 우라늄 1200㎏을 터키로 반출한 뒤 이를 20% 농도의 농축 우라늄 120㎏으로 돌려받는다는 내용의 '터키 · 브라질 · 이란 3자 중재안'도 이끌어냈다. 모두 미국을 바짝 긴장시킬 만한 사안들이었다.
터키의 이 같은 '독자노선'에 당황한 미국은 지난 16일 터키에 '무기수출 불가'를 경고했지만 별 효과를 거두진 못했다. 금융위기 이후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서방국가들이 경기침체에 허덕이는 사이 10%를 웃도는 경제성장률을 자랑하며 주요 20개국(G20)의 일원으로도 당당히 성장해나가는 게 요즘 터키의 모습이다. 그런 만큼 터키는 미국에 '말 잘 듣는 편한 우방'은 아니다.
이슬람 국가인 터키는 '국부(國父)' 케말 파샤가 1923년 공화국을 수립한 이후 서구의 개방적 생활스타일을 과감히 받아들였다. 외교정책에도 이 같은 성향이 반영돼 미국과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고,아랍권의 '공공의 적' 이스라엘과도 손을 잡았다. 또 EU 가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서방세계에 편입하려고 애썼다.
하지만 올 들어 터키는 탄탄한 경제성장을 무기로 '서방과 중동의 중재자' 역할을 본격적으로 자임하고 나섰다. 지난 1분기 터키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11.7%에 달해 G20 회원국 가운데 중국 다음으로 높았다.
터키 수출은 아랍지역을 대상으로 자동차와 TV,식료품 등의 판매가 늘면서 지난 6월 전년 같은 기간보다 13% 증가했다. 또 10년 전만 해도 GDP 대비 16%였던 재정적자는 내년에 3% 미만으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되며,한때 72%로 치솟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8%대로 안정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통화기금(IMF)은 터키의 올해 연간 경제성장률이 6.3%로 고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이런 가운데 터키는 '화해 외교'를 주창하며 과거 적대관계에 있던 국가들과 우호관계를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지난 5월엔 에게해를 사이에 둔 '숙명의 원수'였던 그리스와 이민자 송환 등 21개 협정을 체결하면서 경제 · 문화협력을 다짐했다. 아울러 시리아와 레바논,요르단 등 아랍 3개국과 자유무역지대 창설도 추진하기로 했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총리는 지난 6월 아랍-터키 포럼에서 "터키는 아랍 없이 살 수 없다. 아랍은 터키의 두 눈"이라고 말해 아랍 지도자들로부터 큰 환영을 받았다.
터키는 특히 이란과 자원외교 관계 강화를 모색 중이다. 타네르 이을드즈 터키 에너지 · 천연자원 장관은 지난 11일 "터키 민간기업들이 이란에 석유제품 수출을 원한다면 (미 정부의 이란 제재와 상관없이) 막지 않을 것"이라며 "이란과 공동 추진 중인 발전소 및 천연가스 수송관 건설도 계속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터키의 역동적인 경제성장과 정치안정에 대한 자신감은 서방세계의 예상을 뛰어넘는다"며 "터키에 변화된 지위에 걸맞은 새로운 자리를 내주어야 한다"고 평가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터키의 이 같은 '독자노선'에 당황한 미국은 지난 16일 터키에 '무기수출 불가'를 경고했지만 별 효과를 거두진 못했다. 금융위기 이후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서방국가들이 경기침체에 허덕이는 사이 10%를 웃도는 경제성장률을 자랑하며 주요 20개국(G20)의 일원으로도 당당히 성장해나가는 게 요즘 터키의 모습이다. 그런 만큼 터키는 미국에 '말 잘 듣는 편한 우방'은 아니다.
이슬람 국가인 터키는 '국부(國父)' 케말 파샤가 1923년 공화국을 수립한 이후 서구의 개방적 생활스타일을 과감히 받아들였다. 외교정책에도 이 같은 성향이 반영돼 미국과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고,아랍권의 '공공의 적' 이스라엘과도 손을 잡았다. 또 EU 가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서방세계에 편입하려고 애썼다.
하지만 올 들어 터키는 탄탄한 경제성장을 무기로 '서방과 중동의 중재자' 역할을 본격적으로 자임하고 나섰다. 지난 1분기 터키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11.7%에 달해 G20 회원국 가운데 중국 다음으로 높았다.
터키 수출은 아랍지역을 대상으로 자동차와 TV,식료품 등의 판매가 늘면서 지난 6월 전년 같은 기간보다 13% 증가했다. 또 10년 전만 해도 GDP 대비 16%였던 재정적자는 내년에 3% 미만으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되며,한때 72%로 치솟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8%대로 안정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통화기금(IMF)은 터키의 올해 연간 경제성장률이 6.3%로 고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이런 가운데 터키는 '화해 외교'를 주창하며 과거 적대관계에 있던 국가들과 우호관계를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지난 5월엔 에게해를 사이에 둔 '숙명의 원수'였던 그리스와 이민자 송환 등 21개 협정을 체결하면서 경제 · 문화협력을 다짐했다. 아울러 시리아와 레바논,요르단 등 아랍 3개국과 자유무역지대 창설도 추진하기로 했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총리는 지난 6월 아랍-터키 포럼에서 "터키는 아랍 없이 살 수 없다. 아랍은 터키의 두 눈"이라고 말해 아랍 지도자들로부터 큰 환영을 받았다.
터키는 특히 이란과 자원외교 관계 강화를 모색 중이다. 타네르 이을드즈 터키 에너지 · 천연자원 장관은 지난 11일 "터키 민간기업들이 이란에 석유제품 수출을 원한다면 (미 정부의 이란 제재와 상관없이) 막지 않을 것"이라며 "이란과 공동 추진 중인 발전소 및 천연가스 수송관 건설도 계속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터키의 역동적인 경제성장과 정치안정에 대한 자신감은 서방세계의 예상을 뛰어넘는다"며 "터키에 변화된 지위에 걸맞은 새로운 자리를 내주어야 한다"고 평가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