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실수요자 초점 맞춘 DTI 탄력운용 필요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가 이르면 이달 말 늦어도 내달 초까지는 부동산거래 활성화 조치를 내놓을 예정이라고 한다. 얼어붙은 부동산시장에 온기를 불어넣어 실수요자들이 주택거래와 이사를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하자는 취지다. 총부채상환비율(DTI) 담보대출인정비율(LTV) 같은 금융규제를 완화하는 방안과 양도세 등 세제지원을 강화하는 내용이 핵심인 모양이다.
우리는 부동산 대책 마련의 시급성에 공감한다. 주택가격 하락과 거래 위축으로 인해 국민들이 겪는 어려움이 갈수록 증폭되고 있는 까닭이다. 수도권에서도 주택가격이 20~30%가량이나 하락하고 거래가 단절되다시피 하면서 주택건설 및 하도급 업체와 이사 · 인테리어업체 등 관련업계도 최악의 상황에 빠져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금융규제 완화와 세제 지원을 통해 시장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은 서둘러야 할 일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부동산 활성화 대책이 또다시 주택가격을 자극해서는 안된다는 점 또한 강조해두지 않을 수 없다. 지금의 주택가격도 서민들의 내집마련에 부담스런 수준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DTI 같은 금융규제를 일률적으로 완화하기보다는 실수요자의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초점을 맞춰 탄력적으로 운용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새 집을 샀지만 기존 주택이 팔리지 않아 이사를 하지 못하는 실수요자 등에 대한 규제완화를 통해 거래를 늘릴 필요가 있다. 일률적 DTI 상향조정은 자칫 빚 부담만 늘려 가계 부채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는 부작용을 가져올 우려가 여전히 높기 때문이다.
양도세 완화 등 세제 혜택 강화를 통해 거래 활성화를 도모하는 방안은 가계부채 증가로 직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부담이 작다. 따라서 올해 말 종료될 예정인 1가구 2주택자의 양도세 중과 완화 혜택을 연장하는 방안, 지방 미분양 아파트에 적용되는 양도세 면제 혜택을 수도권으로 확대하는 방안 등은 충분히 고려해 봄 직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부가 내놓는 부동산시장 활성화 조치가 또다시 부동산 투기 재연이나 건설업계 구조조정을 무위로 돌리는 빌미가 되어서는 결코 안된다는 점이다.
우리는 부동산 대책 마련의 시급성에 공감한다. 주택가격 하락과 거래 위축으로 인해 국민들이 겪는 어려움이 갈수록 증폭되고 있는 까닭이다. 수도권에서도 주택가격이 20~30%가량이나 하락하고 거래가 단절되다시피 하면서 주택건설 및 하도급 업체와 이사 · 인테리어업체 등 관련업계도 최악의 상황에 빠져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금융규제 완화와 세제 지원을 통해 시장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은 서둘러야 할 일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부동산 활성화 대책이 또다시 주택가격을 자극해서는 안된다는 점 또한 강조해두지 않을 수 없다. 지금의 주택가격도 서민들의 내집마련에 부담스런 수준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DTI 같은 금융규제를 일률적으로 완화하기보다는 실수요자의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초점을 맞춰 탄력적으로 운용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새 집을 샀지만 기존 주택이 팔리지 않아 이사를 하지 못하는 실수요자 등에 대한 규제완화를 통해 거래를 늘릴 필요가 있다. 일률적 DTI 상향조정은 자칫 빚 부담만 늘려 가계 부채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는 부작용을 가져올 우려가 여전히 높기 때문이다.
양도세 완화 등 세제 혜택 강화를 통해 거래 활성화를 도모하는 방안은 가계부채 증가로 직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부담이 작다. 따라서 올해 말 종료될 예정인 1가구 2주택자의 양도세 중과 완화 혜택을 연장하는 방안, 지방 미분양 아파트에 적용되는 양도세 면제 혜택을 수도권으로 확대하는 방안 등은 충분히 고려해 봄 직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부가 내놓는 부동산시장 활성화 조치가 또다시 부동산 투기 재연이나 건설업계 구조조정을 무위로 돌리는 빌미가 되어서는 결코 안된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