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난에 처한 미국의 주정부와 시정부 등이 현금을 확보하기 위해 부동산은 물론 상수도와 주차 사업,공항과 동물원 운영권까지 닥치는 대로 팔아치우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매각을 진행 중인 미 지자체들의 자산이 35건에 이르며 시장가치로 따지면 2년 전의 10배가 넘는 450억달러에 달한다고 22일 보도했다. 이 밖에도 수백 건이 추가로 검토되고 있다.

뉴욕주의 나소 카운티는 군기지로 사용하던 200에이커 부지의 임대권을 지난주 시장에 내놨다. 이 카운티는 임대권 매각으로 유입될 2000만달러를 재정적자를 메우는 데 사용한다는 계획이다. 캘리포니아 주정부도 보유 중인 건물의 매각을 고려하고 있다.

위스콘신주의 밀워키시는 상수도 운영권을 75~99년간 민간 사업자에게 리스해 5억달러를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루이지애나주의 뉴올리언스시는 공항 운영권을 민간업체에 리스하기로 했다.

샌프란시스코와 라스베이거스를 포함한 10여개의 시정부는 길거리 주차 등 공영주차 시스템을 매물로 내놨다. 피츠버그는 시가 운영하고 있는 주차 시스템을 향후 50년간 3억달러를 받고 임대하자는 안을 시장이 직접 내놨다. 텍사스주의 댈러스시는 동물원 운영권을 민간에 넘긴 뒤 공원 매각도 추진 중이다.

이 같은 고육책이 환영받고 있는 것만은 아니다. 해당 지자체의 일부 주민들은 공공 운영권이 민간기업에 넘어가면 가격 인상과 무분별한 개발 등 부작용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한다. 당면한 재정적자를 타개하자고 장기적인 현금 수입원을 헐값에 포기한다는 비판도 있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