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분야 유망회사로 꼽혀온 네오세미테크의 퇴출(상장폐지)이 확정돼 파문이 확산되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잘잘못을 가리기 위한 조사에 착수했다. 부실 재무제표를 승인했다는 논란을 빚는 담당 회계법인과 불공정거래 혐의를 받고 있는 회사 경영진에 대한 조사가 중심이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24일 "네오세미테크가 분식회계 혐의를 받고 있는 만큼 재무제표가 정확히 작성되지 않은 과정에서 외부감사인의 책임을 가리기 위한 감리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그는 "비상장사 시절에 작성돼 우회상장 과정에서 활용된 재무제표들에 대해 외부감사인이 충분히 주의의무를 다했는지 등을 들여다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분식회계가 수년 전부터 행해진 것으로 판단되는 만큼 심층적으로 감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우회상장 직전 연도의 외부감사를 맡았던 인덕회계법인을 포함한 두세 곳이 감리 대상이 될 것이란 설명이다.

금감원은 앞서 네오세미테크 법인과 오명환 전 대표를 불공정거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관계자는 "오 대표가 계열사 간 거래 등의 방식을 이용해 실제 발생하지 않은 허위 매출을 장부에 기재하고,비용을 유형자산으로 표기하며 순이익을 부풀린 재무제표를 작성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처럼 분식결산된 장부를 활용해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발행해 부당이득을 얻은 혐의가 있다"며 "피해확산 방지 차원에서 신속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보고 지난 5월 말 서둘러 검찰에 고발했다"고 말했다. 또 "감독원이 조사하기 힘든 횡령이나 배임 등의 혐의에 대해서도 검찰과 보조를 맞춰 들여다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금융당국은 태스크포스팀을 만들어 외부감사 제도의 전반적인 개선도 추진 중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회계가 자본시장의 인프라인 만큼 분식회계 예방과 회계감사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전반적인 외부감사 개선책을 연내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우회상장 제도 개선책도 곧 발표될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믿을 만한 회계법인을 금융당국이 지정해 우회상장 회사의 재무제표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우회상장 심사를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라며 "내달초 공청회를 거쳐 개선안을 확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기업 인수 · 합병(M&A)의 순기능도 있는 만큼 지나치게 시장 기능을 위축시키지 않은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백광엽 기자 kecor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