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는 24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김태호 내각'의 키워드로 '소통'과 '현장'을 제시했다. 김 후보자는 이날 인사청문회에 앞서 모두발언을 통해 "이명박 대통령이 제시한 공정한 사회라는 가치 위에 친서민 중도실용 정책이 국민 속에 뿌리 내리도록 할 것"이라며 "모든 문제의 해법은 현장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또 "국민의 마음과 생각을 담아내는 현장 중심의 정책을 적극 펼쳐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소통과 관련,김 후보자는 "국민이 바라는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만들기 위해 여야를 떠나 국회와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협력해 나가겠다"며 "무엇보다 국가분열의 원인인 이념 및 지역과 세대를 과감히 뛰어넘어 새로운 통합의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이어 "막힌 곳을 뚫고 끊어진 곳을 연결해 진정한 소통의 길을 찾겠다"며 "고용문제,환경문제,인권문제,여성문제,대북정책,국제관계 등 어느 한 곳도 소홀함 없이 분명하게 챙겨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저는 가난한 농부의 아들이었지만 오직 도전정신 하나로 도의원,군수,도지사를 거쳐 이 자리에까지 왔다"며 "상실감에 빠져있는 우리 청년들이 용기와 도전으로 자신의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김 후보자는 군수,도지사 출신답게 수도권과 지방의 균형발전을 강조했다. 그는 '총리로서 우선 순위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의원들의 질의에 "국가비전에 대한 신념,국민과의 소통,그리고 지방의 소리를 중앙행정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지방의 많은 기업도시 · 혁신도시가 문제점을 안고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특별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의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며 총리로서 지방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대북관계와 관련,남북화해의 전제조건으로 비핵화를 내걸고 있는 현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옳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정권이 대북교류에서 많은 노력을 했고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북한의 태도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했다"며 "추진과정에서도 투명성과 국민적 합의 부족 등의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이 제안한 통일세에 대해서는 "멀리 보고 준비해나가야 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로 보인다"며 "급변상황을 고려하면 지금부터 준비해야 하고 국민적 논의와 합의를 거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