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중국특사설'과 이재오 특임장관 후보자의 '북한특사설'이 부상하고 있다.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25일 자국 인질 석방 명목으로 북한을 방문하고 중국의 우다웨이 한반도사무 특별대표가 6자회담 재개 협의차 26일부터 방한하는 등 한반도 정세가 요동칠 조짐을 보이면서 특사설에 힘이 실리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명박 대통령과 박 전 대표의 21일 청와대 회동 이후 정치권에선 박 전 대표의 중국 특사설이 꾸준히 흘러나오고 있다. 박 전 대표가 천안함 사태의 책임소재 문제와 한 · 미 서해 합동군사훈련 때문에 꼬인 한 · 중 관계의 실타래를 푸는 데 적격이라는 이유에서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청와대 회동에서 이 대통령이 현재 중국 및 북한과의 관계에 대한 언급이 있었을 것이고, 양측과의 관계개선을 해야 하는 필요성을 논의 선상에 올린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친박(친박근혜)계 유기준 의원은 "박 전 대표가 대중관계 회복을 위해 특사로 나서는 방안을 검토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유 의원은 "이 대통령의 당선인 시절 박 전 대표가 중국특사로 후진타오 국가주석을 만났고 후 주석의 방한시 청와대 만찬에 박 전 대표가 참석한 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친박계의 한 중진의원은 "세종시 수정안 부결 이후 친이(친이명박) · 친박 간 갈등이 커졌는데 국내 정치가 아닌 외교분야에서 공조하게 되면 양측 모두 부담감을 덜 수 있다"며 "2012년 대선을 앞두고 박 전 대표도 국제 외교무대에 이름을 좀 더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특사 가능성을 높게 봤다.

경색된 남북관계의 돌파구를 열기 위한 북한특사로는 이재오 특임장관 후보자가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는 전언이다. 북한특사는 이 대통령을 '대리'할 사람이 맡아야 힘을 받게 된다는 취지에서다. 이 후보자는 23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적절한 분위기가 조성된다면 북한에 가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나고 싶다"며 "북한 문제를 풀려면 김 위원장을 직접 만나 터놓고 얘기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처럼 북한에 돈을 주고 대화하는 건 끝내야 한다"면서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에 힘을 실었다. 청와대는 '특사설'에 대해 "아직까지 결정된 것은 없다"는 입장이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