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 부채비율,즉 적정한 자본구조를 정하기란 말처럼 쉽지 않다. 기업이 처한 환경이나 업종 특성 등 다양한 변수를 감안해야 하기 때문이다.

기업의 부채비율을 관리하는 목적은 부도위험을 예방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이 일정 수준의 범위를 넘어서면 해당 기업이 부도에 처할 확률이 높아진다.

그러나 부채비율 관리에서 중요한 것은 수치에 대한 집착이 아니라 해당 기업과 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한 탄력있는 대응이다.

적정 부채비율은 단순 부채비율이나 이자보상배율뿐 아니라 기업 특성에 따라 달리 산정돼야 한다. 경영진의 능력,매출구조,이익의 질 등도 감안해서 숫자를 이해해야 한다는 의미다. 이런 점에서 외환위기 이후 최근까지 재무구조 개선약정 체결 시 채권단이 일률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부채비율 200%'는 재고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다.

예컨대 신속한 투자와 대규모 연구 · 개발(R&D)이 필요한 사업,매출이 한 번의 분양으로 나타나는 주택사업 등에서는 한 차례의 결정적인 투자 결정이 매출 급변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낮은 부채비율의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게 올바른 선택이다. 그러나 안정적인 매출과 영업이익이 유지되는 유틸리티와 같은 장치산업이나 해운업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부채비율이 통용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적정 자본구조를 가늠하기 위해서는 단순 부채비율보다는 매출과 영업이익의 안정성을 우선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 기업을 인수 · 합병(M&A)할 때도 이 같은 적정 자본구조를 감안해 기업가치를 산정하고 인수가격을 결정해야 한다.

김택중 < 딜로이트안진 상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