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과 KT,LGU+의 뒤를 잇는 제4이동통신사 출범에 대한 기대감은 지난 6월 삼영홀딩스가 한국모바일인터넷(KMI) 컨소시엄에 참여하면서 시작됐다. 5월 말 1만400원이던 삼영홀딩스는 30일 7만400원에 마감돼 석 달 만에 576.92% 올랐다. 지난달 30일에는 8만9400원까지 치솟았다.
KMI컨소시엄에 참여한 씨모텍도 5월 말에 비해 127.86% 상승했고 디브이에스(100.00%)와 제너시스템즈(37.87%)도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
국회가 전기통신사업법을 고쳐 내달부터 가상이동통신망사업(MVNO)이 가능해진 게 관련주에 호재로 작용했다. MVNO는 새로운 통신사업자가 기존 통신업자에 통신망을 빌려 독자적인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지만 KMI가 제4이동통신사업을 성공시키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우선 MVNO 사업자로 선정되는 과정에 변수가 많다. 컨소시엄에 참가한 한 통신장비업체 관계자는 "제4이동통신사 선정은 통신료를 내리기 위해 나온 정책인데,요금 인하 경쟁으로 정책의 취지가 퇴색하고 있다"며 "임기 후반기에 접어든 청와대로서도 특혜 시비가 나올 수 있는 제4통신사업자 선정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컨소시엄 구성도 문제다. 최남곤 동양종금증권 연구원은 "통신장비업체를 중심으로 구성된 현재의 컨소시엄으로는 허가를 받더라도 정상적인 사업이 불가능할 것"이라며 "통신망은 빌려오더라도 1조5000억원에서 2조원에 이르는 마케팅 비용을 감당하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박종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와이브로는 도심지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서비스가 힘들어 시장성이 떨어진다"며 "중장기적으로 관련 종목에 투자하기에는 여러 면에서 위험성이 크다"고 말했다.
노경목 기자 autonom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