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 지난 1년8개월간 운영해 온 청와대 ‘비상경제대책회의’의 이름이 바뀌었다.‘비상’이 빠지고 국민경제대책회의가 됐다.

그렇지만 비상경제상황실(벙커룸)은 그대로 운영된다.청와대는 당초 비상경제대책회의의 종료를 선언하는 것을 검토했다.그렇지만 세계경제 상황이 여전히 불안한 만큼 벙커룸 체제는 올해말까지 유지키로 했다.

다만 국민경제대책회의로 이름을 바꾼것에 발맞춰 회의의 초점은 이전과 달라진다.기존의 비상경제대책회의가 국내외 거시경제 산업 금융 분야에 포인트를 뒀다.반면 국민경제대책회의는 국내외 거시셩제 상황을 점검하고 필요한 대응 방안을 논의할 뿐만 아니라 일자리와 친서민,지속성장 관련 과제 등 국민생활과 관련한 이슈를 다룬다.회의는 비상경제대책회의와 마찬가지로 매주 목요일에 열리며 가급적 현장에서 개최할 방침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는 설명했다.

최중경 청와대 경제수석은 2일 경기도 구리 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열린 첫 국민경제대책회의에서 “회의 이름을 바꾼 것은 국민생활과 관련된 현장을 보다 자주 방문하겠다는 뜻이고 세계경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고 체감경기 개선이 충분하지 못하다는 점을 고려해 비상경제대책회의 취지를 이어받고 비상경제상황실도 유지하려고 한다”고 말했다.이명박 대통령은 “비상경제대책 업무가 없어진 것이 아니라 그걸 포함해서 민생경제를 더 살피겠다는 뜻에서 이름을 바꿨다”고 소개했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