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재정건전성 OECD 중 '최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조세연구원, 3가지 지표 분석
국가채무 급등 가능성 낮아
IMF도 "위기대응 여력 충분"
국가채무 급등 가능성 낮아
IMF도 "위기대응 여력 충분"
한국의 재정 건전성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조사됐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부채 비율이 낮고,부채에서 자산을 뺀 순채무가 적고,경제성장률과 금리 격차를 감안한 재정 건전성도 양호한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국채 만기가 짧고 민간 채무가 많은 것은 위험 요인으로 지적됐다.
조세연구원은 7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28개국(멕시코 터키 제외)의 재정을 △경기조정 기초재정수지 △순채무 △경제성장률과 금리 격차 등 세 가지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한국의 재정이 가장 건전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한국의 올해 경기조정 기초재정수지는 GDP 대비 1.0% 흑자로 조사 대상국 중 다섯 번째로 흑자비율이 높았다. 경기조정 기초재정수지는 경기 변동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과 정부가 보유한 금융자산 및 부채의 이자를 제외하고 계산한 재정수지를 말한다. 정부가 보유한 부채에서 자산을 뺀 순채무 비율은 GDP 대비 -29.7%로 OECD 회원국 중 네 번째로 건전했다. GDP 대비 순채무 비율이 마이너스라는 것은 자산이 채무보다 많다는 의미다.
한국의 경제성장률과 금리 격차는 1.7%포인트로 OECD 회원국 중 세 번째로 높았다. 경제성장률이 국채 이자율보다 높아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급등할 가능성이 낮다는 뜻이다. 조세연구원은 이상의 세 가지 지표를 합산하면 한국의 재정 건전성이 OECD 회원국 중 1위라고 설명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한국의 재정 건전성을 높게 평가했다. IMF는 이날 주요 국가의 재정 현황을 분석한 보고서에서 한국이 갑작스런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재정 여력을 갖췄다고 밝혔다.
IMF는 "한국은 불시에 닥친 충격을 감내할 수 있는 최상의 재정 여력을 갖췄다"며 "모든 상황에 대처 가능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IMF는 한국의 GDP 대비 국가 부채 비율이 2009년 32.6%에서 2015년에는 26.1%로 하락,호주에 이어 가장 낮을 것으로 예상했다.
조세연구원은 그러나 한국의 국채 만기가 짧고 민간 채무 규모가 커 잠재적인 위험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2007년 기준 한국의 국채 평균 만기는 4.2년으로 OECD 회원국 중 네 번째로 짧았다. 채권의 만기가 짧으면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신용경색이 일어났을 때 채권 차환 발행이 어려워지면서 채무 구조가 악화될 위험이 있다.
조세연구원은 국가채무의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국가 보유자산을 늘리고 관리를 강화해 순채무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10년물 20년물 등 장기채 발행을 확대해 국채의 평균 만기를 늘려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GDP 대비 국가부채 외에 대외채무 비중과 민간채무 비율도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
조세연구원은 7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28개국(멕시코 터키 제외)의 재정을 △경기조정 기초재정수지 △순채무 △경제성장률과 금리 격차 등 세 가지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한국의 재정이 가장 건전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한국의 올해 경기조정 기초재정수지는 GDP 대비 1.0% 흑자로 조사 대상국 중 다섯 번째로 흑자비율이 높았다. 경기조정 기초재정수지는 경기 변동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과 정부가 보유한 금융자산 및 부채의 이자를 제외하고 계산한 재정수지를 말한다. 정부가 보유한 부채에서 자산을 뺀 순채무 비율은 GDP 대비 -29.7%로 OECD 회원국 중 네 번째로 건전했다. GDP 대비 순채무 비율이 마이너스라는 것은 자산이 채무보다 많다는 의미다.
한국의 경제성장률과 금리 격차는 1.7%포인트로 OECD 회원국 중 세 번째로 높았다. 경제성장률이 국채 이자율보다 높아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급등할 가능성이 낮다는 뜻이다. 조세연구원은 이상의 세 가지 지표를 합산하면 한국의 재정 건전성이 OECD 회원국 중 1위라고 설명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한국의 재정 건전성을 높게 평가했다. IMF는 이날 주요 국가의 재정 현황을 분석한 보고서에서 한국이 갑작스런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재정 여력을 갖췄다고 밝혔다.
IMF는 "한국은 불시에 닥친 충격을 감내할 수 있는 최상의 재정 여력을 갖췄다"며 "모든 상황에 대처 가능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IMF는 한국의 GDP 대비 국가 부채 비율이 2009년 32.6%에서 2015년에는 26.1%로 하락,호주에 이어 가장 낮을 것으로 예상했다.
조세연구원은 그러나 한국의 국채 만기가 짧고 민간 채무 규모가 커 잠재적인 위험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2007년 기준 한국의 국채 평균 만기는 4.2년으로 OECD 회원국 중 네 번째로 짧았다. 채권의 만기가 짧으면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신용경색이 일어났을 때 채권 차환 발행이 어려워지면서 채무 구조가 악화될 위험이 있다.
조세연구원은 국가채무의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국가 보유자산을 늘리고 관리를 강화해 순채무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10년물 20년물 등 장기채 발행을 확대해 국채의 평균 만기를 늘려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GDP 대비 국가부채 외에 대외채무 비중과 민간채무 비율도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