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당호 생태공간사업 본격화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경닷컴] 정부는 유기농 경작지로 사용돼오던 한강 팔당호 주변의 생태공간 조성 사업을 본격화해 내년 말 완공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국가하천 부지인 이 지역에서 경작하는 농민들은 “유기농이 친환경적인 농법이고 내년 9월 이 곳에서 세계유기농대회가 열리는데다 생존권 차원에서 농사를 계속 지어야 한다”며 보상 협의 등을 거부해왔다.
국토부는 그러나 유기농업도 퇴비 등 유기질 비료를 사용해 이 지역 총인(수중에 함유된 인성분의 총량)이 일반 농경지의 7배,BOD(생물학적산소요구량)는 4배에 달해 유기농 철거가 불가피하다”고 밝히고 있다.또 팔당지역 전체 유기농 면적 가운데 4대강 사업에 편입되는 곳은 3.1%여서 세계대회 개최에도 지장이 없다는 게 국토부 입장이다.
국토부는 남양주 진중·송촌지구의 토지 및 지장물에 대해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수용 재결 결정을 받아 보상금을 법원에 공탁했다.따라서 이행기간을 줘 비닐하우스 등의 지장물을 자진 철거하게 하고 남은 행정절차를 밟아 내년 말까지 주변 생태를 복원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연꽃밭과 연결한 수로를 만들고 둔치에는 1만여 그루의 나무를 심는 등 두물지구내 하천 경작지 24만㎡를 생태공간으로 복원할 계획이다.귀여지구의 48만㎡도 연꽃 습지와 샛강의 식생을 보존하는 생태 벨트로 조성하고 숲,쉼터 등도 만든다.진중·송촌지구 33만㎡에는 각종 나무 15만주와 수변식물 41만본을 심고 생물서식처도 복원하기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가하천은 특정인이 점유하기보다 국민 전체가 이용하는 공공시설로 되돌려야 한다”며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 등 팔당호 주변 경관을 조망하고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곳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
국가하천 부지인 이 지역에서 경작하는 농민들은 “유기농이 친환경적인 농법이고 내년 9월 이 곳에서 세계유기농대회가 열리는데다 생존권 차원에서 농사를 계속 지어야 한다”며 보상 협의 등을 거부해왔다.
국토부는 그러나 유기농업도 퇴비 등 유기질 비료를 사용해 이 지역 총인(수중에 함유된 인성분의 총량)이 일반 농경지의 7배,BOD(생물학적산소요구량)는 4배에 달해 유기농 철거가 불가피하다”고 밝히고 있다.또 팔당지역 전체 유기농 면적 가운데 4대강 사업에 편입되는 곳은 3.1%여서 세계대회 개최에도 지장이 없다는 게 국토부 입장이다.
국토부는 남양주 진중·송촌지구의 토지 및 지장물에 대해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수용 재결 결정을 받아 보상금을 법원에 공탁했다.따라서 이행기간을 줘 비닐하우스 등의 지장물을 자진 철거하게 하고 남은 행정절차를 밟아 내년 말까지 주변 생태를 복원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연꽃밭과 연결한 수로를 만들고 둔치에는 1만여 그루의 나무를 심는 등 두물지구내 하천 경작지 24만㎡를 생태공간으로 복원할 계획이다.귀여지구의 48만㎡도 연꽃 습지와 샛강의 식생을 보존하는 생태 벨트로 조성하고 숲,쉼터 등도 만든다.진중·송촌지구 33만㎡에는 각종 나무 15만주와 수변식물 41만본을 심고 생물서식처도 복원하기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가하천은 특정인이 점유하기보다 국민 전체가 이용하는 공공시설로 되돌려야 한다”며 “북한강과 남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 등 팔당호 주변 경관을 조망하고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곳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