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의 국가부도 위기설이 또다시 금융시장을 강타했다. 아일랜드는 "사실이 아니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21일로 예정된 국채 발행이 순조롭지 못할 경우 세계 금융시장에 큰 불안 요인이 될 전망이다.

19일 블룸버그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아일랜드의 유력 신문인 아이리시 인디펜던트는 지난 17일 바클레이즈 캐피털의 보고서를 인용, "정부가 예기치 못한 금융 부문의 손실로 국제통화기금(IMF)이나 유럽연합(EU)에 구제금융을 요청할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이로 인해 당일 유럽 증시가 장중 급락세로 돌변했고 미 국채와 금 등 안전자산의 가격이 급등했다. 특히 금값은 17일 런던금시장에서 한때 온스당 1281달러까지 올라 사상 최고치를 거듭 경신했다.

아일랜드의 국가부도 위험을 나타내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사상 최고치인 433bp(1bp=0.01%)까지 올랐다. 이는 1000만달러어치 아일랜드 국채를 보유한 채권자가 디폴트 위험을 헤지하려면 1년에 43만3000달러를 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일랜드의 10년물 국채 금리도 이날 하루 0.22%포인트나 급등해 6.139%를 기록했다.

아일랜드는 부동산 거품이 꺼지면서 은행들이 대거 부실화되자 정부 돈을 투입해 부도를 막고 있다. 지금까지 은행 등 금융회사에 330억유로를 투입했다. 마이클 소머스 전 아일랜드국가재무관리기구 최고경영자(CEO)는 현지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전체 구제금융 규모가 400억유로에 달할 수 있다"고 말해 우려를 증폭시켰다.

그러나 IMF와 아일랜드 정부는 이 같은 가능성을 부인했다. IMF는 "우리는 아일랜드에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지 않는다"며 "아일랜드는 금융위기에 대처해 공세적인 조치를 취했고 재정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브라이언 레니한 아일랜드 재무장관도 "국채 발행으로 구제금융 관련 비용을 조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일랜드는 21일 10억~15억달러 규모 국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존 코리간 국가재무관리기구 CEO는 "채권 발행을 앞두고 시장이 과민반응을 보이고 있다"며 "채권 발행 금리가 조금 올라가겠지만 발행 자체는 무난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국채 발행의 성공 여부가 사태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분석했다. EU집행위원회는 올해 아일랜드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0.9%로 떨어졌다가 내년에 3%대로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태완 기자 twkim@hankyung.com